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일일 경제지표 중 금리와 수익률 지표, 부동산시장 압력지수가 부동산 PF-ABSTB(project financing asset backed short term bond) 발행 잔액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세부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벡터 오차수정모형 활용한 분산분해 분석과 충격 반응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충격 반응분석 결과 부동산 PF-ABSTB 발행 잔액은 국고채, CP(commercial paper), CD(certificate of deposit)의 1단위 충격에 초기 정(+)의 관계가 성립되었고 7차부터 부(‒)의 관계가 성립하며. Call 금리와 부동산시장 압력지수의 충격에 초기 부(‒)의 관계 이후 3차 또는 4차부터 정(+)의 관계가 성립한다. CP가 부동산 PF-ABSTB 발행 잔액에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가지며, 국고채는 미미하며, 잔여변수들의 설명력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부동산 PF-ABSTB 발행을 통한 수익성 확보가 신용보강회사(기관)의 안정성보다 부동산 PF-ABSTB 발행 잔액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대내외적인 시장 충격에도 안정적인 금융시장 유지를 위해 부동산 PF-ABSTB 발행 관련 관계기관의 구체적인 내부 사후 관리 시스템 구축뿐만 아니라 신용보강기관의 신용보강을 통한 단순 위험 전가 방식이 아닌 새로운 신용보강 수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interest rate indicators, yield indicators and pressure indices for real estate markets on the balance of issued real estate project financing asset backed short term bond (PF-ABSTB) among daily economic indicators through the Granger causality test,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using a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and impact response analysis. As a result, the balance had an initially positive (+) relationship on the 1st impact of national treasury bond (NTB), commercial paper (CP) and certificate of deposit (CD), while negative (‒) on the 7th. The impact of call rates and pressure indices for real estate markets made the initial negative (‒) relationship, whereas positive (+) from the 3rd or 4th. CP was the most influential on the balance of issued real estate PF-ABSTB, while NTB was slight and CD, call rates and the pressure indices were very rare. Profitability through the issuance of real estate PF-ABSTB was believed to have more impact on the balance of the real estate PF-ABSTB than on the stability of financial institutions or companies in charge of credit reinforcement. 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stable financial markets despite internal and external market shock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establish a specific internal follow-up system for organizations related to the issuance of the real estate PF-ABSTB, but also to develop and apply new credit reinforcement measures rather than a simple risk transfer method through credit reinforcement agenci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전월세전환율과 시장이자율의 비대칭적 조정과정에 대한 실증 분석 = Analysis for the asymmetric adjustment between rent to Jeonse ratio and market interest rates 김상배 p. 1-19

주택가격 변동이 주택연금 가입 및 해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house price fluctuations on subscription or termination of reverse mortgage 임병권, 장한익 p. 21-41

서울시 오피스 가격 거품 추정 연구 = Estimation of bubbles in Seoul office price 류강민, 송기욱 p. 43-61

20·30세대 ‘영끌’에 관한 실증분석 = Analyzing the reality of ‘young soul-scraping homebuyers’ 홍정훈, 임재만 p. 63-78

주택금융규제가 주택수요와 구매력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impact of financial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demand and house affordability 김종희 p. 79-102

불확실성과 통화정책 = Uncertainty and monetary policy : focusing on the Korean housing market : 주택시장을 중심으로 이우석 p. 103-121

금리 상승기 아파트 후순위 담보대출의 가산금리 결정요인 분석 = Analysis of determinants of spread in apartment junior mortgage loans during the rising rates regime 곽정우, 이성원, 이연재 p. 123-135

비시가화지역의 토지전용 실태와 촉발요인 = Characteristics and triggers of land conversion of the non-urbanized area in Pocheon-si : 포천시를 사례로 심재헌, 진장익 p. 137-156

거시경제지표가 부동산 PF-ABSTB(Project Financing Asset Backed Short Term Bond) 발행 잔액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macroeconomic indicators on the balance of real estate project financing asset backed short term bond (PF-ABSTB) 이성실, 임미화 p. 157-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