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서울시의 탑골공원, 손기정체육공원, 앙카라공원, 파리공원, 중계근린공원, 노해근공원, 6개 공원을 대상으로 노인 이용자의 행태를 관찰하고 인터뷰를 진행하여 노인친화공원 조성시 고려 사항을 파악하였다. 행태관찰 결과 공통적으로 운동 목적의 걷기가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공원에서 노인끼리의 소통이 많은 편이 아니며, 공원에 다양한 연령층 있으면 노인 연령층과 공간이 나뉜다는 점이 중요한 특징으로 관찰되었다. 성별에 따른 행태의 차이도 나타난다. 남성노인의 경우 장기와 바둑의 유희 활동을 주로 즐겼으며 여성 노인은 육아와 관련된 아동 동반 이용의 행태가 나타났다.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노인들의 주 공원 방문 목적이 운동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인들은 공원 이용 시 그늘과 편안한 벤치 등의 휴게시설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조용하고 안전한 분위기의 공원 선호하였으며 그늘을 제공하는 수목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남성 노인은 타 연령층과의 교류를 불편하게 인식했지만, 여성 노인은 긍정적으로 생각했다. 연구의 결과 바람직한 노인친화공원은 노인의 운동을 위한 공간과 휴식시설, 노인 전용 시설이 요구되었다. 그리고 공원에 자연이 풍부하고 그늘이 많아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여성 노인과 남성노인의 이용행태의 차이를 고려하고, 조용한 공간과 운동 및 유의 공간을 분리할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activities of seniors in 6 parks in Seoul and interviewed them to apprehend considerations for senior-friendly parks.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activity of seniors in the park is walking as exercise. Through field observation, the study found out that seniors in public space are not willing to communicate frequently with strangers and there is spatial segregation according to different age user groups. There is also an obvious difference in the activity pattern by sex. The male seniors preferred chess and go as leisure activities in parks. The female seniors often used the park with their grandchildren. Through the interview, it is verified that the main purpose for seniors visiting parks is exercise. Seniors preferred the quiet and safe atmosphere of the park and thought trees with shade were the most crucial factor for the senior’s park use. While the male seniors felt uncomfortable talking with strangers, the female seniors wanted more social engagement with new users. As the result of the field survey and the interview, the research suggests more exercise facilities for the senior group and abundant greenery with shade in the senior-friendly park. A sufficient resting place and gathering facility for the seniors are essential for the senior-friendly park. In making a senior-friendly park, the difference in activities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should be considered. The separation of quiet space and active space is also requir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부산시 리모델링 수요예측 및 정책 제안 연구 = A study of apartment remodeling demand and policy in Busan Metropolitan City 반시현, 김지현, 조지현 p. 5-19
도시형태 측면에서 강남 수퍼블록의 보행친화성 분석 = An analysis on wakability of Gangnam’s superblocks based on urban form : comparative study of Gangnam with Portland and Manhattan : 미국 포틀랜드 및 맨해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주상민, 김지엽 p. 21-35
COVID-19 발생 전후 청량리종합시장 일대 전통시장들에서 나타난 영향 = Influence of traditional markets in Cheongnyangni general market area before and after COVID-19 outbreak 이석현, 이은결, 유석연 p. 37-55
지역공동체 주도적 공공공간 재생 방법으로서 GBD(Green Benefit District)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GBD(green benefit district) as a community-led public space regeneration method : focused on the Potrero Hill and Dogpatch in San Francisco : 미국 샌프란시스코 Potrero Hill과 Dogpatch를 중심으로 김정인, 손은신, 권윤구 p. 57-70
노인친화공원을 고려한 서울시 공원의 노인 이용행태분석 = Senior user behavior analysis of parks in Seoul considering senior-friendly park 김지연, 김영민 p. 71-88

문화유산 및 역사문화환경 개념에 따른 행위제한 비교 = Comparison of development permit system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cultural heritage and historic-culture environment : focused on Korea, England, and France : 한국, 영국, 프랑스를 중심으로 차미니, 유석연 p. 89-108
COVID-19 전·후 우울감 완화를 위한 도시공간 활용의 변화 분석 = Analysis of changes in urban space usage for alleviating depression before and after COVID-19 : application of KoBERTopic model with social media bigdata : 소셜미디어 빅데이터와 KoBERTopic 모형의 적용 김혜빈, 이수기 p. 109-125

주차장용지를 활용한 도심항공교통(UAM) 버티포트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 Planning direction of urban air mobility (UAM) vertiport using parking building site 김혜림, 홍성조 p. 127-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