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청소년의 자기조절, 학업스트레스, 스마트폰 과의존의 종단적 변화궤적을 추정하고, 자기조절과 학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조사(KELS2013)의 3~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검증 결과, 자기조절은 학년 증가에 따라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는 증가 추세를 나타냈다. 또한, 중1 때 자기조절은 당해 스마트폰 과의존에 부적인 영향력을 보였으나, 스마트폰 과의존의 종단적 변화에는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마지막으로, 중1 때 학업스트레스를 높이 지각할수록 중1 때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가 높았으며, 중1에서 중3까지 학업스트레스가 빠르게 증가할수록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도 더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량 및 과의존 현상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이에 대한 개인적 영향요인으로서 자기조절과 학업스트레스의 역할을 검증했다는 점에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방향 및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학교 밖 청소년의 대인관계 잠재프로파일과 심리적 적응의 차이 = Differences in interpersonal relations latent profile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of out-of-school adolescents 채혜영, 정현희 p. 1-25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adolescents on sexual attitude : self-open self-esteem mediating effect : 자기개방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김선영, 최수미, 최은희, 신경필 p. 27-51
아동양육시설 보호대상아동 놀이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질적연구 = Qualitativ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play-centered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 in child care facilities 정희성 p. 53-81
코로나19 상황 속 청소년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가족관계와 자아존중감의 다중가산조절효과 =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non-suicidal self-injury among adolesc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relationship and self-esteem 김동현, 서동현 p. 83-111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 자기조절, 학업스트레스, 스마트폰 과의존의 종단적 관계 = The roles of self-regulation and academic stress in change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 a latent growth modeling approach 이지수, 안현선 p. 113-133
고등학생을 위한 ChatGPT 활용 면접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terview education program using ChatGPT for high school students 황수민, 손예지, 이예은, 이정민 p. 135-155
가족돌봄청년 정책에 대한 비판적 분석 = A critical analysis of the policy for young carer 이정민, 정경아 p. 157-179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adolescent subjective happiness : the mediating effects of sense of community and peer relationships : 공동체 의식과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조연수, 손한결 p. 181-201
중학생 대상 M-PBL 디지털 시민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M-PBL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이지원, 이정민 p. 203-228
재한 중국 유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acculturat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 여가활동의 매개효과 검증 윤청, 류태경, 문성호 p. 229-248
장애인 가구 영케어러(young carer)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mong young carers in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 a focus on care-related variables : 돌봄 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강희주, 정익중, 이진혁 p. 249-278
사회적 낙인감이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애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cial stigma on career barriers of out-of-school adolescents : focusing on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y and peer attachment : 자아탄력성 및 또래애착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미혜, 안영미, 최려나, 정익중 p. 279-305
중-고 전환기 청소년의 현실비행 및 사이버비행의 종단적 구조관계 = Real-delinquency and cyber-delinquency among adolescents in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longitudinal structural relationships 김은숙, 노현종 p. 307-329

기후변화 시대, 청소년과 부모의 ‘기후 격차’ = The climate divide in the era of climate change : a comparative study of perception,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between adolescents and parents : 인식, 지식, 태도, 행동 비교 연구 송미령, 김효진 p. 331-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