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일본 동경대학교의 문학부 도서관 오구라 문고(小倉文庫)에는 조선어 역관이었던 나카무라 쇼지로(中村庄次郞, 1855~1932)의 기증본이 소장되어있다. 이 자료들은 조선시대 후기에 일본에서 조선어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어 왔다. 오구라 문고에는 어학 뿐만 아니라 문학, 역사, 사회 등의 자료도 소장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금고기관(今古奇觀)』은 나카무라가 21세 때인 1876년에 동명의 중국명대 백화소설의 일부를 번역한 것으로「양현령성혼사(兩縣令成婚事)」 「팔은인(八銀人)」「동정홍(洞庭紅)」이라는 제목으로 세 개의 이야기가 실려있으며, 본고는 이 작품에 대해 문학적인 측면에 중점을 두어 분석한 것이다.
본 작품에서「양현령성혼사」는『금고기관』제2화「양현령경의혼고녀(兩縣令競義婚孤女)」의 정화(正話)를 번역한 것이며,「동정홍」은『금고기관』제9화「전운한교우동정홍(轉運漢巧遇洞庭紅)」의 정화를 번역하였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런데「팔은인」은『금고기관』의 무슨 이야기를 번역했는지 출전이 알려져 있지 않았으나 본고에서는「전운한교우동정홍」 의 입화(入話)를 번역하였다는 것을 밝혀냈다.
나카무라 번역본『금고기관』은 원작의 복잡한 묘사나 중국의 문화적인 배경이 세밀하게 묘사된 경우 축약과 삭제를 하여 전체적인 스토리를 위주로 초역(抄譯)을 한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원작의 내용을 충실히 따르기만한 것이 아니라 조선어로 번역했을 때 부자연스러운 등장인물명을 바꾸기도 하고, 원작의 내용이 어색한 경우 자연스러운 내용으로 개변한 부분도 찾아볼 수 있어 독자적인 창작의식을 가지고『금고기관』을 번역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東京大学文学部図書館小倉文庫には対馬の通詞であった中村庄 次郞が寄贈した書物が収められている。これは朝鮮時代末期の日 本で朝鮮語の教育がどのように行われていたかという点において とても貴重な資料として評価されている。そのうち、『今古奇観』は 中村が21歳の1876年に釜山の草梁公館で翻訳されたもので、本稿 は当該作品に対して、文学的な分析を試みたものである。
まず、『今古奇観』に収録されている話のうち、「両県令成婚事」 は「両県令競義婚孤女」、「洞庭紅」は「転運漢巧遇洞庭紅」を翻訳し たことはよく知られていたが、「八銀人」は出典未詳とされていた。 本稿では、「八銀人」が「転運漢巧遇洞庭紅」の入話を翻訳したもの であることを明らかにし、中村は原話を二つに分け、入話を「八銀 人」とし、正話を「洞庭紅」と題して翻訳をしたことを指摘した。
本書に収められている3編はいずれも原話を正確に翻訳すると いうより、細かい人物描写及び中国の文化的な背景を知らないと理 解できないところを削除し、原話の骨格を中心に翻訳した抄訳であ る。しかし、原話の内容にそのまま忠実に従わなかったところも随 所に見られ、例えば、朝鮮語として不自然な人物名は自然な人物名 に変えたり、原話の矛盾するところを改変するなど、翻訳ではなく 翻案を目指した独自性も見られる。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일본의 로봇문화 = 日本のロボット文化 : 親密さ、生命、共存の想像力 : 친밀함, 생명, 공존의 상상력 | 김도형 | p. 1-35 |
|
|
일본 SF만화·애니메이션 속 휴머노이드의 속성 고찰 = 日本のSF漫画·アニメに描かれるヒューマノイドの性格 | 김선희 | p. 37-64 |
|
|
『공각기동대』 다시 읽기 = 『攻殻機動隊』再読 : ロボットの存在論のために : 로봇의 존재론을 위하여 | 심희찬 | p. 65-99 |
|
|
전후 일본의 ‘뉴타입’ 구상과 좌절 = 戦後日本の「ニュータイプ」構想と挫折 : 富野由悠季の<機動戦士ガンダム>シリーズを中心に : 도미노 요시유키의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를 중심으로 | 이윤서 | p. 101-128 |
|
|
일본인이 조선어로 번역한 중국 고전소설 = 日本人が朝鮮誤訳した中国古典小説 : 東京大学小倉文庫所蔵『今古奇観』を中心に : 동경대학교 오구라 문고(小倉文庫) 소장 『금고기관(今古奇觀)』을 중심으로 | 김영호 | p. 129-155 |
|
|
통신사 수행 하관에 관한 연구 = 通信使随行の下官に関する研究 | 이재훈 | p. 187-212 |
|
|
일본제국주의 식민지하의 류큐(오키나와)와 대만 = 大日本帝国主義植民地下の琉球(沖縄)と台湾 : サバルトン相互間の主語化の試みと連帯的主体化 : 서벌턴 상호간 주어(主語)화 시도와 연대적 주체화 | 노병호 | p. 157-185 |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