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글에서는 영국 작가 서머싯 몸(William Somerset Maugham 1874~1965)이 한국에 수용되는 과정에 주목해 보았다. 1930년대 영문학 전공자 최재서와 독문학 전공자 서항석을 통해 몸의 문학이 언급되었고 1946년에 단편이 번역되었다. 몸의 작품 번역은 1950년대 이르러, 영문학 전공 연구자들에 의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다.
1950년대 서머싯 몸 작품의 수용과정은 세 가지 특징이 드러난다. 첫째, 일역본이 아니라 영문판을 토대로 영문학 전공자들이 번역한다. 둘째, 번역과정에서 대중의 흥미를 고려하여 원제를 바꾸기도 했다. 셋째, 장편소설 『인생의 굴레Of human bondage』가 베스트셀러가 되었으며, 1980년대 이르러 ‘6펜스(개발, 자본)’와 더불어 ‘달(예술)’의 가치를 사유하면서 예술가 소설 『달과 6펜스The Moon and Sixpence』가 더 주목 받았다.
1950년대 수용과정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몸의 소설론(창작방법) 번역을 통해 소설의 대중화 전략을 모색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몸은 세계 10대 소설을 선정하고 발표한 바 있는데, 『사상계』는 그의 소설론 외에도 도스토예프스키론, 톨스토이론, 브론테론을 게재했다. 몸은 소설론에서 ‘재미’, ‘모럴’을 강조했거니와 세 작품론은 재미와 모럴, 양자를 구비하고 있다. 몸의 평문을 번역한 김성한, 선우휘는 물론 평론가 유종호, 시인 신경림, 극작가 이근삼, 소설가 오정희에 이르기까지 당대 문인들은 몸의 문학의 영향을 받았으며, 몸이 보여준 ‘인간에 대한 탐구’는 창작의 근간이 되었다.
1970년대에는 서머싯 몸의 문학전집이 발간된다. 전집의 발간은 당대 몸 문학의 시장성과 상품성을 시사한다. 출판사 광고처럼 한국의 독자들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그의 문학에 매료되었으며, 출판사는 고가의 상품으로 포장했다. 1980~90년대에는 몸의 작품이 널리 무대에 올려졌다. 단편 「비Rain」(The Smart Set,1921.4)와 「정복되지 않는 사람들The Unconquered」(1943)이 극화되었고, 희곡 「아내라는 직업의 여인The Constant Wife」(1926)이 장기간 공연되면서 1980~90년대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세 작품의 공통점은 ‘여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는 점이다. 성적 욕망, 불굴의 의지, 지성을 통해 기성의 질서를 비판하고 넘어서려 했던 것이나, 1980년대 한국의 무대에서는 ‘인간성’에 대한 탐구보다 ‘여성성’에 방점을 두고 수용되었다. 그럼에도 통시적 맥락에서 몸의 문학 수용사는 인간 다면성의 수용과정으로 요약할 수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