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청년들이 결혼하지 않는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이들 세대가 장차 중⋅노년에 접어들면 국가 전반의 행복이 크게 하락할 것이다. 출산이 결혼과 강력하게 결부되어 있는 한국에서는 이로 인한 심각한 저출산 문제도 함께 나타나고 있다. 유럽의 사례를 참고해 비교적 진입장벽이 낮은 시민결합을 도입하여 정핵 수혜의 범위를 넓히는 것이 한 가지 해법이 될 수 있다. 본고는 전통적인 결혼과 대안적 제도인 시민결합이 개인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 함의를 논한다. 유럽 11개 국가의 EVS 설문 응답자를 결혼, 시민결합, 독신으로 삼분해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민결합은 결혼과 유사한 행복 상승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난다. 시민결합은 파트너 간 유대감 및 안정감을 형성해 행복을 증진한다. 우리 사회는 방법을 가리지 않고 사람들이 삶의 파트너를 찾도록 도와야 한다. 심각한 혼인 지표를 감안하면 정책을 통해 보수적 문화를 극복하는 전향적 조치가 필요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프로세스 마이닝을 통한 공공부문 행정혁신 = Process mining for public sector advancement : investigating policy, education, healthcare, and financial application cases : 정책, 교육, 의료 및 금융 사례를 중심으로 이덕상, 임정은, 송민석 p. 3-34

언어모델과 공공부문 행정혁신 = Language models and administrative innovation in the public sector : concept, approaches, and considerations : 개념, 접근법 및 고려 사항 박정원, 이규민, 전대성, 최재웅, 이창용 p. 35-88

한국 반도체 기술 네트워크 연구 = Network analysis for Korean semiconductor technology : a data-driven approach : 데이터 기반 접근법 김기윤, 이성주 p. 89-116

공공기관 ESG의 신제도주의적 분석 = Analysis of public institution ESG from a neo-institutional perspective 김석은 p. 117-147

혼인 형태와 행복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tatus and happiness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between marriage and civil partnership : 결혼과 시민결합의 매개효과 비교를 중심으로 전승민, 구교준 p. 149-173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인력산정모형 개선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improving the adequate manpower size estimation model in local governments :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living population" : ‘생활인구’의 적용을 중심으로 김민곤, 김지수 p. 175-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