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국제학업성취도조사(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자료를 활용하여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자녀의 기대 직업 지위 차이가 2000년(1984년 출생 코호트)과 2022년(2006년 출생 코호트) 사이에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출생 코호트와 상관없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자녀의 기대 직업 지위에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자녀들은 주로 의사와 변호사와 같은 직업 지위가 높은 직업을 희망한 반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자녀들은 주로 미용사나 요리사와 같은 직업 지위가 낮은 직업을 희망하였다. 그러나 최근으로 올수록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자녀의 기대 직업 지위 차이가 심화되는 경향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오히려 1984년 출생 코호트와 2006년 출생 코호트를 비교 했을 때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자녀의 기대 직업 지위 차이는 작지만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꿈”의 계층화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해 중요한 실증 증거를 제공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청년과 사회이동 = Youth and social mobility : education, occupation and asset : 교육, 직업 그리고 자산 김기헌 p. 1-27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자녀의 기대 직업 지위 차이 변화 = Trends in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Korean children's expected occupational status : 2000-2022 : 2000-2022 변수용, 정희진, 김지혜 p. 29-65

핀란드, 미국, 한국 학생의 기대교육포부 수준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educational aspir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Finland, the United States, and Korea :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parents' SES groups : 부모의 SES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이혜란, 이지은, 류신혜 p. 67-94

승진을 희망하지 않는 초등교사의 연구학교 근무 중 소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A narrative study on the burnout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do not aspire to promotion while working in a research school 정형수 p. 95-128

복수전공은 누가, 어떻게 선택하는가? = Who chooses to double major and how? : interactions between gender, socioeconomic status, and institutional resources : 젠더, 사회경제적 지위, 제도적 자원의 상호작용 정승연, 최성수 p. 129-162

시민적 가치 규범에 대한 청소년의 태도 분석 = Analyzing adolescent attitudes toward civic norms : exploring supportive measures within school and home environments for fostering citizenship : 시민성 함양을 위한 학교 및 가정환경 내 지원 방향 탐색 최정원, 이인영 p. 163-196

사립초등학교 졸업이 대학 입시 결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graduating from a private elementary school on college admissions results 정희진, 박수영, 정진리, 변수용 p. 197-236

건강 요인이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Health factors of multicultural youth impact on self-esteem 김소민, 김경식 p. 237-270

소규모학교 교육과정 운영 방안 = A study on small school curriculum plan in rural area : realization of social value through school : 학교를 통한 사회적 가치의 실현 이정표, 황지원 p. 271-306

교원의 역량 개발을 위한 비형식 학습 참여 효과 분석 =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non-formal learning participation on teacher competency development : a comparative study of Korea, the United States, and Finland using PIAAC data : PIAAC 자료를 활용한 한국, 미국, 핀란드 비교 최정윤, 양정호 p. 307-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