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미국 복음주의 기독교인들 사이에 기후변화 담론을 둘러싼 이념적인 분열이 심하다. 분열이 심화된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는데, 정치적 성향과 이념적 기반은 그 중 대표적인 요인들로 손꼽을 수있다. 일부 학설에 따르면, 종말론적 세계관은 개인의 생태적 입장에 영향을 미치고 게다가 기후 회의론과 연관되어 있다. 이를배경으로, 본 논문은 복음주의 기독교 안에 존재하는 세 가지 대표적인 종말론적 입장을 생태신학적 관점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우선 현대 성경해석학에서 주목받고 있는 생태신학에 대해 간략히정의하고, 전천년주의, 후천년주의 그리고 무천년주의의 신학적 입장과 타당성을 논할 것이다. 더 나아가 각각의 종말론적 입장이창조세계에 대한 기독교인의 인식과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The partisan divisions run deep in the climate change discourse among evangelicals in the United States. There are several factors which contribute to this tension such as the ideological orientations and political commitments which are possibly the greatest dividing factors. In addition, it has also been pointed out that eschatological world-views affect one’s take on ecology in general. Many climate activists perceive the end-time belief held by certain evangelicals as a major challenge which runs against climate advocacy.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three representative millennial beliefs held by evangelicals, namely; pre-millennialism, post-millennialism and amillennialism through eco-theological perspective, which is an emerging biblical hermeneutic in the era of climate change. The critique will primarily focus on the validity of each theological claims of millennial beliefs and consequently its attitude to the whole created order.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사탄과 유의어들에 대한 소고 = Thoughts on Satan and synonyms :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Old Testament, Second Temple literature, the Synoptic Gospels, and the Gospel of John : 구약, 제 2 성전기 문헌, 공관복음, 요한복음 비교 연구 이민규 p. 1-37

열왕기상 8장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언약적 신실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God's covenantal faithfulness' in 1 Kings 8 허환구 p. 39-75

최병헌의 개종에서 본 기독교와 유교와의 대결 양상 연구 = A study of the dynamics of confrontation between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in Choi Byung-heon's conversion : focusing on Seogsan Myeong Gyong and Man Jong Il Lyeon : 『성산명경(聖山明鏡)』과 『(만종일련萬宗一臠)』을 중심으로 양현혜 p. 77-112

종교개혁의 스캔들, 그 불관용의 역사에 대한 역사-재구성적 성찰 = Scandals of the reformation : historical-reconstructive reflections on the history of intolerance and persecution of the evangelical rationalists, focused on the case of Michael Servetus : 미카엘 세르베투스(Michael Servetus) 사건을 중심으로 이승갑 p. 113-164

기독교 사회주의로서 북한교회의 에큐메니칼적 이해 = An ecumenical understanding of the North Korean church as Christian socialism : focusing on Paul Tillich's theory of religious socialism : 폴 틸리히의 종교사회주의 이론을 중심으로 허석헌 p. 165-217

(An) eco-theological critique of millennial beliefs in the era of climate change = 기후변화 시대 천년왕국에 대한 생태신학적 고찰 Choi, Sungho p. 219-265

무등신학에 나타난 한국적 사회생태윤리 = Korean socioecological ethics in Mudeung theology : focusing on Lee Hyun-Phil's barefoot spirituality : 이현필의 맨발의 영성을 중심으로 박용범 p. 267-295

(The) ethics toward the other in Lee Chang-dong’s Secret Sunshine = 이창동의 「밀양」에 나타난 타자를 향한 윤리 Lee, Young Hwa p. 297-331

의료선교사 두걸드 크리스티(Dugald Christie)의 선교 사상 연구 = The medical missionary Dugald Christie's view on Christian missions 박형신 p. 333-367

고령화 시대 노인학대의 특성과 종교의 역할 = Characteristics of elder abuse and the role of religion in the age of aging : focusing on the 2022 Elder Abuse Status Report : 2022 노인학대 현황보고서를 중심으로 전명수 p. 369-407

종교사회복지의 트릴레마에 관한 고찰 = A basic study on the trilemma of the government, private welfare, and faith-based organization 이정기 p. 409-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