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미술에서의 매체가 창의성을 촉발하는지 또는 제약하는지에 대한 탐구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더니즘적 매체와 포스트-매체의 특성을 탐구하고, 그를 바탕으로 미술에서의 매체가 가지는 창의성의 촉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 세 가지 관점들을 통하여 매체가 창의성을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미디어 창의성은 매체가 창의성을 촉발할 수 있다는 근거가 되었다. 매체의 창의적 사용을 의미하는 미디어 창의성은 신선함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매체의 효율적인 사용을 극대화하도록 자극하기 때문에 창의성을 촉진할 수 있다. 둘째, 제약 이론은 매체가 창의성을 촉발할 수 있다는 근거가 되었다. 부수적인 관심사의 제거를 지지하는 제약이론은 제약이 개인의 창의적인 활동의 질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나의 제약인 매체는 예술가들이 현재의 프로젝트 자체에 집중하도록 만들기 때문에 창의성을 촉진할 수 있다. 셋째, 체화론은 매체가 창의성을 촉발할 수 있다는 근거가 되었다. 매체와의 역동적인 몸적 상호작용을 지지하는 체화론은미술가들의 미술 제작의 관점이나 세상을 보는 관점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창의성을 촉진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국가수준 미술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와 쟁점에 관한 소고 = A study on the meanings and agendas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national art curriculum : focusing o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선아 p. 1-25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미술수업의 쟁점과 대안 = Issues and alternatives in technology-based art classes : from middle school art teachers' voice : 중학교 미술교사의 목소리로부터 김지서, 김은주, 안지연 p. 27-49

미술에서의 매체 = Media in art : dose it develop creativity or prevent? : 창의성을 촉발하는가, 제약하는가? 김황기 p. 51-67

미술교육에서의 지식과 이해교육 = Teaching knowledge and understanding in art education 박상돈 p. 69-94

경계선 지능인 대상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사례 분석 연구 = An analysis on the cases of cultural and arts education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untries for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박진희, 서민재, 김선아 p. 95-118

초등 미술교육에서 포용성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요소와 교수·학습 방법 제안 = Proposed elem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e curriculum to foster inclusion in elementary art education 서선영, 손지현 p. 119-146

기업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Research on the necessity and promotion of corporate culture and arts education 이미현, 김향미 p. 147-164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포용성 재개념화 = Research on reconceptualization of inclusiveness in art curriculum : focusing on the concept of “the other” : 타자 개념을 중심으로 이하림 p. 165-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