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2022 AI기초 교육과정을 르완다 코딩 아카데미(Rwanda Coding Academy, RCA)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에게 적용해 미치는 컴퓨팅 사고력 기반 자기효능감을 사례 연구 및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의 AI기초 교육과정을 적용한 수업을 교육하였을 때, 컴퓨팅 사고력 기반 자기효능감이 해외의 학생들에게도 영향이 있는지 그 효과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국제적인 AI교육 및 측정을 위한 기초연구로써도 활용되고자 한다. 이 연구는 30명의 단일 집단을 대상으로 8차시의 AI기초 교육과정을 교육하였다. 이후 사전·사후 설문을 통해, 컴퓨팅 사고력 기반 자기효능감 측정 문항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컴퓨팅 사고력의 8개 요소 중에서 ‘자료 분석’, ‘자동화’, ‘시뮬레이션’ 요소를 제외하고 나머지 5개 요소에 대해서 통계적 유의성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컴퓨팅 사고력 기반 자기효능감은 t검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한국의 AI기초 교육과정이 RCA 고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관점을 제시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생성형 AI를 활용한 SDGs 기반 교과 융합 교육 프로그램 설계에 대한 협력적 실행연구 =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on the design of SDGs-based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using generative AI 김송희, 김현정, 신유리, 장윤재 p. 1-17

수학과 ‘확률과 통계’ 영역에서 ChatGPT를 활용한 서답형 평가 피드백이 학생들의 피드백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ChatGPT-enhanced evaluation feedback on students' feedback literacy in descriptive assessments within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s' domain of mathematics education 김욱태, 김영식 p. 19-30

인공지능 융합 프로젝트학습과 실제적 학습이 학습자의 효능감과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I-integrated project learning and authentic learning on learners' efficacy and learning results 최명호, 허희옥 p. 31-42

초등학생 대상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CNN : CNN을 중심으로 김석중, 최숙영 p. 43-54

한국의 고등학교 AI기초 교육과정이 르완다 고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기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사례 연구 및 분석 = Case study and analysis of the impact of Korea's high school AI basic curriculum on Rwandan high school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based self-efficacy 이준형, 송기상 p. 55-63

TF-IDF를 활용한 초‧중등학교 저작권 교육 자료의 내용 분석 = Analysis of copyright education material content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using TF-IDF 이경민, 김자미, 이원규 p. 65-74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학습 도구로서의 ChatGPT 이용 의도에 관한 탐구 = Exploration for the intention to use of ChatGPT as educational instrument us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김지은, 김미량 p. 75-85

경남 디지털 역량강화 교육사업 우수 강사와 서포터즈의 특성 및 사업에 대한 인식 =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 of Gyeongnam digital competency enhancement education project's honor instructors and supporters 석종원, 김민정 p. 87-102

컴퓨터 비전과 자연 언어 처리 기반의 인공지능 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AI education program based on computer vision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이정훈, 배진아, 고아라, 조정원 p. 103-114

상품 카테고리 자동분류를 위한 BERT-분류기 아키텍처 연구 = Research on a BERT-classifier architecture for automatic product category classification 김도훈, 임희석 p. 115-123

메타버스 시스템 내에서 반시민적 언어 탐지 및 시각화 기반 교정 메커니즘 구현 = Implementation of the correction mechanism based on detection and visualization of uncivil language expressions in the metaverse 박윤정, 이세영, 금희조 p. 125-133

창의적 표현을 위한 애니메이티드 드로잉 기반 프레젠테이션 저작 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animated drawings based presentation authoring tool for creative expression 이다연, 김태현, 조소연, 정예일 p. 135-144

다중 스펙트럼 CNN 기반 고해상도 컬러 영상 보간 기법 = Multi-spectrum CNN-based high-resolution color image interpolation technique 고성희, 양수미, 김한열, 곽성범 p. 145-153

인공지능 윤리감수성 검사 도구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I ethics sensitivity scale 김은경, 이영준 p. 155-168

중학교 교원의 인공지능융합교육 연수 인식 분석 및 활성화 방안 = A comparative study on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training 강신천, 허희옥, 정현용 p. 169-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