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그동안 뉴스 품질 연구는 주로 기자의 잣대로부터 도출한 규범적 개념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이에 따라, 독자의 고유한 뉴스 평가 기준이 무엇인지, 또는 규범적 접근으로 포착할 수 없는 뉴스 평가 요소가 무엇인지 분명히 드러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기사에 대한 독자의 감상을 귀납적으로 분석하여 독자 측면의 뉴스 품질 평가 요소를 탐색했다. ‘주제 분석 방법’으로 독자의 기사 평가문을 분석한 결과, ‘흥미’, ‘몰입’, ‘믿음’, ‘분노’, ‘공감’, ‘연민’, ‘재미’, ‘감탄’, ‘이해’, ‘성찰’, ‘결심’ 등 11개 범주를 발견했다. 또한, ‘제목’, ‘토픽’, ‘앵글’, ‘취재 방법’, ‘편집’, ‘기사 구조’, ‘도입’, ‘문장’, ‘정보 특성’ 등 9개의 뉴스 요소가 독자의 품질 평가와 연결된다는 점도 발견했다. 분석 결과를 근거로 독자가 뉴스를 통해 다양한 감정을 단계적이고 복합적으로 느낀다는 점, 각 감정은 기사의 특정 요소가 일으키는 자극의 결과라는 점, 독자의 이런 잣대를 새로운 뉴스 품질 요소와 규범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점을 논의했다. 마지막으로 독자 특성에 따른 평가 잣대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향후 연구 과제도 제시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코로나19 시기 기자들의 취재관행, 취재⋅보도 고충, 소속 언론사의 저널리즘원칙 수행 정도에 대한 인식 분석 = Journalism practices change during Covid-19 오해정 p. 7-40

초급간부 처우개선 의제의 형성과정 분석 = An analysis of the agenda formation process on the issue of improving conditions for junior officers in the military : focusing on the theory of reversed agenda-setting between YouTube and news media : 유튜브-언론 간 역의제설정 이론을 중심으로 박영진, 전세훈 p. 41-83

OTT와 극장 영화의 시기별 영상제작기법에 대한 내용 분석 = A content analysis of visual production techniques for OTT and theater movies over time 안지훈, 정세훈 p. 85-124

독자는 어떤 기사를 좋아하는가 = What is news do readers like? : an inductive approach to young readers’ criteria on evaluating news : 20대의 뉴스 품질 평가 기준에 대한 귀납적 접근을 중심으로 안수찬, 김창숙, 박재영 p. 125-167

상위 OTT 서비스(넷플릭스와 티빙) 간 구독 전환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Determinants of influencing subscription switching intent between top OTT services (Netflix and Tving) : application of the PPM model : PPM 모델의 적용 정혜경, 전범수 p. 169-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