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한 대학생의 챗GPT 현 수준 및 중요도 분석 =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current level and importance in ChatGPT using Borich Need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조혜영, 오세원
p. 1-16
ESG 활동을 연계한 중학교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linked to ESG activities
김종미, 조용
p. 17-36
유아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반영한 기후⋅생태계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climate and ecosystem program reflecting a play-based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 focusing o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nature)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ttitudes, ecological literacy, preschoolers' playfulness : 유아발달(자연) 및 환경보전태도, 생태소양, 유아 놀이성을 중심으로
조혜영, 최현경, 송숙진
p. 37-56
원문보기
고등학생의 외⋅내향성과 자아존중감과의 관련성 = Association between extrovert · introvert tendency and self-esteem among high school students
최미준, 김성영
p. 57-73
대학생들의 노인자서전 쓰기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Elderly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qualitative case study on participation experience
신민주
p. 75-90
간호대학생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신체상 및 자아존중감, 섭식태도가 다이어트 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body image, self-esteem, and eating attitudes on dieting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based on BMI
김지훈, 김예람, 김유진, 김하은, 고하나
p. 91-100
간호대학생의 윤리적 가치관, 윤리적 민감성, 간호전문직관이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Impact of ethical values, ethical sensitivit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ethical decision-making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김미정, 나은하
p. 101-113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중요도와 실행도(IPA) 분석 = Analysis of the resilienc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PA)
최현주, 김보현, 고주아
p. 115-131
잠재성장모형(LGM)을 이용한 중학생의 자아개념이 창의성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종단분석 =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impact of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 on creativity and learning motivation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LGM)
최동규
p. 133-150
대학 정량지표를 통해 본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성과와 시사점 = Performance and implications of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through university quantitative indicators
황인섭
p. 151-171
학습 효과가 높은 수업과 낮은 수업의 학습 과정과 평가의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earning process and evaluation characteristics with high and low learning effects :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prospective instructors : 예비교수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윤가영
p. 173-193
학급긍정훈육법을 활용한 초등 교육과정 연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 linked to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using PDC
김승숙, 김두규
p. 195-211
대학생의 내적 통제소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internal locus of control on academic achievement among college students :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handicapping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 자기구실 만들기와 학업지연행동의 이중 매개효과
신하선, 김나래
p. 213-232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 학습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multicultural learning using movies for college students
김혜정
p. 233-243
대학생의 우울과 자존감의 관계에서 자기격려-낙담의 병렬다중매개효과 = Paralle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elf-encouragement and discour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college students
김세경
p. 245-258
워킹맘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직무소진의 관계 = Working moms'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and job burnout : the mediating role of mindfulness :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김나래, 우영지
p. 259-273
마음챙김이 초등학생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and worr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anxie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정서조절과 걱정의 매개효과
양곤성
p. 275-286
대학 교양수업에서 학습자 중심의 팀기반 학습 경험 = Learner-centered, team-based learning experience in college liberal arts classes
문희정
p. 287-308
학습 피드백 도구로 ChatGPT를 활용한 고등학생용 파이썬 프로젝트 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ython project program using ChatGPT as a learning feedback tool for high school students
이준기, 김인주, 김귀훈
p. 309-319
한국 청소년의 아침 식사 유형에 따른 영양소 섭취 상태 및 아침식사의 질 평가 =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and breakfast quality according to breakfast type among Korean adolescents : analysis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2016-2019) :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6~2019) 분석
박혜정, 계승희
p. 321-335
보이는 것은 보이지 않는 것에 기반한다 = What is visible is based on what is invisible : issues of identification problems in quantitative research in educational research : 교육학 양적연구에 있어서의 식별의 문제
정계룡
p. 337-359
생성 AI ChatGPT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의 학습 효과 = The learning effects of Korean writing through generative AI ChatGPT for Chinese learners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욱아경, 유훈식
p. 361-377
기숙사 장소감 형성과 대학 생활 적응 간의 관계 = A qualitative study of the impact of dormitory experiences on the college life
유현정, 조미혜
p. 379-388
청소년 어머니의 정서지능 기반 부모교육 참여경험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of the experience of a mother with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parental education based on emotional intelligence
최영재, 김정숙, 송보영, 이명우
p. 389-405
SOC 기반 한국어 수업 설계 및 운영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Korean language classes based on SOC theory : for Japanese elderly learners : 일본 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강용희, 서진숙
p. 407-422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능력과 인공지능교육 및 코딩교육 인식 간의 관계 분석 =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coding education percep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고정리
p. 423-437
대학 강의평가 서술형 문항의 감정분석 및 의미연결망 분석 = Sentiment analysi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university lecture evaluation narrative questionnaire through A university practice :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오선아, 나은창, 김진영
p. 439-455
상담자 자기성찰 집단상담 참여 이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of experiences after participation in counselors' self-reflection group counseling
강주연
p. 457-475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인 주제의 실천적 다문화 역사학습의 실제 = The practice of practical multicultural history learning on the topic of ‘Korean diaspora, Koryo people’
허영훈
p. 477-500
지방대학의 중도 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요인 분석 = Analyzing factors that contribute to college dropout rates at rural four-year institutions :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이승형, 백은주
p. 501-521
무의식적 배움에 대한 탐색 = A study on unconscious learning : focusing on Deleuze's concept of learning-subject : 들뢰즈의 배움-주체론
배지현, 김재춘
p. 523-543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진로준비활동 간의 관계 = The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dual mediating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 내재적 동기와 자기주도학습의 이중매개효과
권다영, 강승희
p. 561-573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간호대학생이 추구하는 교수학습법 유형 = Analysi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facilit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 Q methodological approach : Q 방법론적 접근
이다인
p. 575-588
원문보기
대학생의 애착불안, 부정정서 회피를 위한 SNS 사용, COVID-19로 인한 지각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attachment anxiety, social media use to avoid negative emotions, and perceived stress from COVID-19 on depression
김유경, 안현의
p. 589-601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ESG 인지 및 교육 유무에 따른 ESG 인식수준과 중요도 간의 차이연구 =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ESG awareness levels and importa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ESG education
조혜영
p. 603-617
원문보기
정신병동 실습을 통한 간호대학생의 자아성찰 경험 = A study on the self-reflection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through psychiatric ward practice : IPA : 해석현상학적 분석(IPA) 연구
홍주은, 손정아
p. 619-636
인간-AI 협력 역량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A systematic review on human-AI collaboration competences
유영진, 최지원, 조영환
p. 637-654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PITR) 반응에 대한 대학생의 우울, 불안, 부정정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epression, anxiety, and negative emotions in college students in response to the Person-in the-Rain Test
김세경
p. 655-671
퀼봇(Quillbot)보조 바꿔 쓰기 활동이 대학 신입생의 영어 어휘 습득에 미친 영향 연구 = Effects of Quillbot-assisted paraphrasing practice on EFL college students’ English vocabulary acquisition and perception
현일선
p. 673-687
진학계 고교 영어과의 진로별 과목 분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English subjects differentiation method according to career in academic high school
권채리, 홍후조
p. 689-708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공감능력의 의미와 구성요인에 관한 델파이 연구 = Meaning and components of parent empathy ability : a Delphi study
송정미, 문혁준
p. 709-723
부모의 학습지원과 지지적 학교환경이 초등학생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rental learning support and supportive school environmen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attitudes :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 그릿의 매개효과
김동선, 문혁준
p. 725-736
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교육에 관한 담임교사의 경험과 시사점 = The experiences and implications of the homeroom teacher on physical activity education for the lower elementary grades
김소현, 박재정
p. 737-757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정서조절 및 창의적 성취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s between creative self-efficacy, emotion regulation, and creative achievement : conditional indirect effects of dance experience : 무용경력 수준의 조건부 간접효과
이대원
p. 759-775
초등 영어몰입교육에 대한 학습자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s of learners and parents on elementary English immersion education : focusing on A elementary school in Seoul : 서울시 A초등학교 중심으로
안나현, 성민선, 노한나, 최우리, 김대권
p. 777-796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습 참여도와 학생 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engagement and student satisfaction in contactless online classes : focusing on NAVER Connect Foundation's Edwith and Boost Courses : 네이버 커넥트재단의 에드위드와 부스트 코스를 중심으로
이승형, 백은주
p. 797-814
리빙랩에서의 집단학습과 매개 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collective learning and intermediary activities in living lab
김정은, 김은아
p. 815-838
팀 빌딩 비주얼 싱킹을 활용한 현대 소설 수업이 고등학교 남학생의 국어 수업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 of modern novel classes using team building visual thinking on Korean language classes of high school male students : focusing on Park Wan-suh, ‘Mother’s Stake Ⅱ’ : ‘박완서, 엄마의 말뚝 2’를 중심으로
양일동
p. 839-858
고교학점제에서 과학 선택 과목의 경향성 분석 = Analysis of trends in science electives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 focusing on Chemistry Ⅰ subjects : 화학Ⅰ 과목을 중심으로
신동선
p. 859-868
ESD 적용 경험에 따른 환경교육 강사들의 ESD 가치에 대한 인식과 친환경 행동 및 PCK 차이 분석 =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ESD value, environment-friendly behaviors and PCK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structors depend on application experience of ESD
최재혁, 손연아, 오현정, 맹희주
p. 545-560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