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단일한 한국어 학습서로서 출간된 모든 판의 변모 양상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한국어 학습서 ‘Fifty Helps’를 미시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짧은 시간에 스스로 한국어를 익히고자 하는 이들을 위하여 출간된 하나의 학습서가 30년간 여섯 번의 개정을 거치면서 어휘나 문법 항목 등에서 그 내용이 충실하고 풍부해져 가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fty Helps’의 변화 양상을 미시적으로 살펴본 결과, 한국어 학습서로서 갖추어야 체계를 현대의 교재와 같은 모습으로 수정하였고, 한국어를 익히기 위한 내용인 어휘 및 문법 항목 등이 판이 거듭 수정되면서 꾸준히 추가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학습자 스스로 한국어를 익힐 수 있도록 발음, 어휘, 문법에 대한 의미나 대역(영어)이 추가되었으며, 30년의 시간 흐름에 따라 변하는 언어의 변화(표기의 변화)와 사회 현상의 변화(어휘의 변화)도 학습서에 반영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기능을 중심으로 본 국어 접속 표현 연구 = A function-focused study on Korean conjunctive expression : focusing on causal relation conjunction : 인과 관계의 접속 표현을 중심으로 주향아 p. 5-30

KFL환경에서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 교육을 위한 담화 표지 양상 연구 = A study on discourse markers for the Chinese Korean learners' presentation education in KFL environment : focused on the relational coherence of discourse : 담화의 관계적 응집성을 중심으로 김홍매, 김운옥 p. 33-69

학습유형에 따른 내적동기와 기본심리 욕구 유형관계 비교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according to learning types 지순정 p. 71-107
학술 분야별 용언의 사용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usage patterns of verbs in each academic discipline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최지희 p. 109-134

한국어 중급 교재의 역할극 제시 방식 연구 = A study on the presentation methods of role plays in Korean intermediate textbooks : focusing on level 3 textbooks : 3급 교재를 중심으로 김현진 p. 135-168

성인학습자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인식 분석 = Adult learner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perception analysis 주민재 p. 169-201

생성형 AI모델의 요약 성능 평가 연구 = Summary evaluation performance studies with generative AI models 최규리, 김한샘 p. 203-227

언어모델은 언어표현을 유연하게 처리하는가? = Do language models flexibly process the language expressions? : using the disaster messages : 재난문자를 활용한 평가 이예빈, 송상헌 p. 229-255

한국어 학습서 ‘Fifty helps’의 수정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modifi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study book 'Fifty Help' 최정도 p. 257-290

증강현실(AR) 캐릭터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Korean speaking classes utilizing augmented reality(AR) characters 박수연, 최예슬 p. 291-314

한국어 교육학 분야에서 수행된 쓰기 피드백 논문의 연구 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research into written feedback in the field of teaching Korean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 a methodological review : 연구 방법론적 고찰 전경선, 권유진, 김영규 p. 315-343

디지털 전환 시대에 한국어교육학이 나아갈 방향 탐색 = A study to explore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 focusing on Kang Hyoun-hwa et al. (2023) and Edu-Tech research trends : 강현화 외(2023)과 에듀테크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김진희 p. 347-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