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가족돌봄을 책임지고 있는 19~34세 청년 13명(여 9명, 남 4명)에 대한 개별심층면접과 초점집단면접조사 결과를 가족돌봄청년의 돌봄경험을 가족, 지역사회, 공공정책, 젠더 규범 등 다양한 맥락 속에서 살펴보고 성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질적연구방법인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추출된 주제어를 주제 묶음과 범주로 구성하고 성별로 제시하였으며, 주제들간의 관계를 정렬하고 조직화함으로써 가족돌봄청년의 돌봄 경험에 관한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돌봄 자원 부족과 사회경제적 안전망의 부실 속에서 청년에게 전가된 가족돌봄 부담이 과부화된 상태로 수행되고 있었다. 가족돌봄청년의 공통된 조건 및 동기와 더불어 돌봄의 동기 및 특성, 결과에서 젠더 차이가 나타났고, 돌봄의 성역할과 관련된 젠더 규범이 관철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성의 돌봄 동기에서는 성역할 기대가 지배적이었고, 돌봄 수행에서 가족 돌봄에 강하게 결속된 상태에서 현재의 돌봄뿐 아니라 미래의 진로나 전문적 정체성 등 사회적 차원으로 연결시키는 경향이 나타났다. 남성 참여자들은 주변과 연결되지 못한 고립된 돌봄 경험이 특성으로 나타났으며, 돌봄 경험이 주변화되고 개인화됨으로써 사회적 정체성으로 통합되지 못하였다. 가족돌봄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청년정책의 다양화, 가족돌봄 경력의 사회적 인정 등에 대한 당사자로서의 통찰이 제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족돌봄의 경력화를 통한 노동과 돌봄의 통합, 다양한 청년지원 정책과 성인지적 가족돌봄청년 지원, 가족돌봄청년 당사자 연대와 조직화를 제안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가족돌봄청년의 돌봄 경험에 대한 성별 분석 = A gender analysis study on care experiences of young adults caring for family 최희경 p. 221-273

한국 여성의 결혼관과 한국의 결혼 규범 변화에 관한 이론적 고찰 = Theoretical approaches to changes in marriage in Korea : changes in women's marriage views and Korean marriage norms 성수진, 강영희 p. 67-106

대학 미투운동의 응결점들 = Seeting points of the university me-too movement : an case study on "P" university in "B" city : B시 P대학의 경험을 중심으로 최나현, 김영 p. 139-184

초국적 ‘가족하기’(doing family)의 주체로서 결혼이주여성의 실천 = Marriage migrant women's 'doing family' practices as the subjects of transnational families 문현아, 은기수, 허오영숙 p. 35-64

다중위기 시대, 비인간 전회와 회절의 정치 = The multiple crisis ara[실은 era], the non-human turn and the politics of diffraction 김은주 p. 7-34

코로나19 시기를 경유한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경험을 통해 본 피해자 지원시설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in operating victim support facilities through the experiences of women who have been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during the COVID-19 period 유화정, 김효정 p. 185-220

1960~70년대 버스안내원 직종의 여성화와 ‘여성적인’ 서비스의 의미 = The meaning of the "feminine" service : feminizing of the bus attendants during the 1960s and 1970s 조민지 p. 107-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