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돌봄을 책임지고 있는 19~34세 청년 13명(여 9명, 남 4명)에 대한 개별심층면접과 초점집단면접조사 결과를 가족돌봄청년의 돌봄경험을 가족, 지역사회, 공공정책, 젠더 규범 등 다양한 맥락 속에서 살펴보고 성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질적연구방법인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추출된 주제어를 주제 묶음과 범주로 구성하고 성별로 제시하였으며, 주제들간의 관계를 정렬하고 조직화함으로써 가족돌봄청년의 돌봄 경험에 관한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돌봄 자원 부족과 사회경제적 안전망의 부실 속에서 청년에게 전가된 가족돌봄 부담이 과부화된 상태로 수행되고 있었다. 가족돌봄청년의 공통된 조건 및 동기와 더불어 돌봄의 동기 및 특성, 결과에서 젠더 차이가 나타났고, 돌봄의 성역할과 관련된 젠더 규범이 관철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성의 돌봄 동기에서는 성역할 기대가 지배적이었고, 돌봄 수행에서 가족 돌봄에 강하게 결속된 상태에서 현재의 돌봄뿐 아니라 미래의 진로나 전문적 정체성 등 사회적 차원으로 연결시키는 경향이 나타났다. 남성 참여자들은 주변과 연결되지 못한 고립된 돌봄 경험이 특성으로 나타났으며, 돌봄 경험이 주변화되고 개인화됨으로써 사회적 정체성으로 통합되지 못하였다. 가족돌봄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청년정책의 다양화, 가족돌봄 경력의 사회적 인정 등에 대한 당사자로서의 통찰이 제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족돌봄의 경력화를 통한 노동과 돌봄의 통합, 다양한 청년지원 정책과 성인지적 가족돌봄청년 지원, 가족돌봄청년 당사자 연대와 조직화를 제안하였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