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근대지리공간의 표상으로서 지형도의 기호와 실제 = The representation of modern geographic space : symbols on topographic maps | 박선영, 김현종 | p. 1-25 | ||
부동과 이동의 연결공간으로서 주차장 = Parking space as the connecting space of immobilities and mobilities | 이승빈, 백일순 | p. 26-59 |
|
|
조선시대 궁궐 별원(別苑) 함춘원(含春苑)의 성립과 전개 = The origin and the development of an outer royal garden "Hamchunwon" during the Joseon Dynasty | 정우진, 소현수 | p. 60-89 | ||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제주 지역화 교과서의 ‘해녀’ 내용 분석과 시사점 = Content analysis and implications for Haenyeo in Jeju localization textbooks using linguistic network analysis | 송원섭, 김효정, 이윤미, 조철기 | p. 90-102 | ||
예술가 없는 예술지구 = An arts district without artists? : a case study on Seonosong Art Village in Jeonju : 전주시 서노송예술촌을 사례로 | 김민주, 윤아영 | p. 103-118 | ||
여백의 장소성에 관한 이론적 모델 연구 = The theoretical model on the placeness of white space | 최미경, 이무용 | p. 119-145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