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마약 중독은 만성재발장애인 동시에 뇌장애로 설명될 정도로 다른 중독에 비해 재발은 쉽고 회복이 어려워 「마약류관리에 관한 법률」에서는 마약류 중독자를 치료의 대상으로 보고 있으며, 무엇이 마약중독 치료 예후에 도움이 되는가는 치료자들의 가장 큰 관심사이다. 본 연구는 무작위로 선정된 국내 교정시설 내 마약류사범 369명을 대상으로 한 중독재활치료에서 마약류사범 대상 한국어판 회복단계척도의 요인구조를 분석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회복과정으로서의 변화단계인 전숙고, 숙고, 실행, 유지 요인으로 4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는 척도의 적합도와 4요인 구조를 지지하였다. 신뢰도는 전체 .83, 전숙고요인은 .82, 숙고 요인은 .79, 실행 요인은 .93, 유지 요인은 .81로 나타났다. 회복단계가 상승할수록 단약자기효능감과 변화준비도 단계 및 치료열망 척도의 인식 및 행동실천 요인과 정적상관을 보였고, 우울·불안·스트레스 척도 및 전숙고(중독문제를 부인함으로써 회복을 방해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요인)와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이는 한국어판 회복단계척도가 원척도와 같이 네 가지 회복단계를 측정하며 치료의 유지 및 결과 예측의 유용한 척도임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교정시설 내 마약류 사범의 중독특성을 탐색하고 회복가능성을 예측하여 마약 중독재활치료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교정시설 치료공동체에 대한 질적메타 종합연구 =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therapeutic communities in correctional facilities : international research focus : 국외 연구 중심 유숙경 p. 3-42

교정공무원의 성격5요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big five personality trai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orrectional officers : 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s and coworker relationship : 직무스트레스와 동료관계의 매개효과 김슬기, 정효운, 김정민, 오영선 p. 43-72

보호관찰관의 직무상 위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The prevalence of job-related risks and their impact on th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probation officers in Korea 윤옥경 p. 73-101

미국의 소년범 무관용주의 형사정책 관련 딜레마와 시사점 = Dilemmas and implications related to U.S. zero-tolerance criminal policy for juvenile offenders 허경미 p. 103-127

교정공무원의 지각된 통제감과 직무소진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ontrol and job burnout : sequential mediation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emotional dysregulation : 고통감내력과 정서조절곤란의 순차이중매개 효과 이은영, 이창현 p. 129-155

마약류사범 대상 한국어판 회복단계척도의 타당화 연구 = Predictive validity of the URICA-DO : Korean version of the stages of recovery scale for drug offenders 정여경, 최경찬, 이장한 p. 157-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