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한국기독교가 『베네딕트 옵션』을 비롯한 수도원 영성에 주목하는 것은 공적 책임, 소통, 공감, 그리고 환대 등 사회적 영성의 결여를 비난받는 정황을 악화시키는 것은 아닐까?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매킨타이어를 응용하여 베네딕투스에 관한 윤리학적 재발견을 시도한다. 특히, 덕 윤리와 수도원 영성의 연결고리를 제자 됨으로 설정하여 질문을 던진다. ‘수도원에 들어간 제자도, 사회적 영성의 퇴거인가?’
매킨타이어의 ‘또 다른 베네딕투스’에 대한 기다림을 응용하여 읽어낸 베네딕투스는 위기의 시대에서 제자 됨을 추구한 ‘수도원 제자도’의 표본이다. 베네딕투스는 그리스도에 대한 신실한 ‘따름과 본받음’의 제자 됨을 위한 공동체에 관심했다. 로마의 도덕적 위기를 진단한 베네딕투스는 현대사회의 도덕적 위기에 주목한 매킨타이어의 데쟈뷰로서, 특히 ‘기독교 버전’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렇다면, 수도원에 들어간 제자도는 공적 책임과 소통 및 공감과 환대의 퇴거를 조장하는가? 베네딕투스는 ‘세상에서의 물러남’과 ‘세상 안으로’의 영성을 균형 있게 강조한다. 세상에서의 물러남을 통해 온전한 제자 됨을 추구하고 세상으로의 복귀를 통해 진정한 사회적 영성을 구현하려는 취지로 읽을 수 있겠다. 베네딕투스가 ‘환대’를 강조한 것은 사회적 영성에 대한 관심을 보여준다. 인문학에서 말하는 환대를 넘어 제자됨에 근거한 환대를 말한 것으로 읽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쉬움이 남는다. 수도원을 넘어, 일상에서의 제자 됨을 추구하고 현실에서 사회적 영성을 구현하는 단계로 나아가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한국기독교가 베네딕투스의 영성 및 사막교부들의 영성에 관심하려 한다면, 수도원 동경에 귀착하기보다 교회로 하여금 일상에서의 ‘제자 됨의 공동체’가 되게 하는 것이어야 한다. 나아가, 공적 책임과 소통 및 공감과 환대의 사회적 영성을 제자 됨에 근거하여 구현해야 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