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배경 디자인사에서 생태론은 20세기 중·후반 서구의 일부 디자이너/이론가(버크민스터 풀러, 빅터 파파넥)들의 담론과 실천 이후 진전되지 못하고, 지속가능한 디자인 방법론에 집중되어 왔다. 본 연구는 20세기 말~21세기 초, 물질문화 연구가 현재 인간-사물의 상호관계성에 기반한 생태적 디자인 사고의 토대가 되는 새로운 ‘사물’ 개념의 출발점이라는 가정에서 시작되었다.

연구방법 21세기 전환기에 국내외에서 전개된 물질문화 중심의 디자인 연구에서 나타나는 사물에 대한 시각의 변화를 빌 브라운의 사물론(Thing Theory)과 함께 조명한다. 이 디자인 연구의 방향 전환이 한국에서 ‘일상’ 과 ‘키치’ 논의로 이어지는 양상을 재조명하고, 산업 논리와 분리된 사물 개념이 디자인 개념에 야기하는 변화를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이는 사물 개념에 대한 인식론적인 분석에 기반한 디자인 연구 방법이다.

연구결과 21세기 전환기에 국내외에서 전개된 물질문화 중심의 디자인 연구에서 나타나는 사물에 대한 시각의 변화를 빌 브라운의 사물론(Thing Theory)과 함께 조명한다. 이 디자인 연구의 방향 전환이 한국에서 ‘일상’ 과 ‘키치’ 논의로 이어지는 양상을 재조명하고, 산업 논리와 분리된 사물 개념이 디자인 개념에 야기하는 변화를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이는 사물 개념에 대한 인식론적인 분석에 기반한 디자인 연구 방법이다.

결론 디자인에 대한 물질문화 연구는 주로 문화 연구의 흐름을 형성했는데, 그 이면에는 사물을 상품 논리에서 분리된 독립 개체로 보는 시각의 전환이 있었다. 그로부터 사물 자체의 행위능력, 매개능력을 고찰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인간-사물, 인간-비인간 간의 수평적 관계성 속에서 물질 세계의 체계와 순환을 고찰하는 생태론으로 연결되는 단초가 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Decoupling geometry from surface finish by parameterizing texture directly in G-code for 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printing Zofia Marciniak, Kongpyung Moon, Andrea Bianchi p. 7-22

Enhancing accessibility through typography in Thai government mobile applications : identifying issues and recommending inclusive guidelines for typefaces, type sizes, and color contrast Rachapoom Punsongserm, Pittaya Suvakunta p. 25-57
Analysing intersubjective relations in collaborative design ideation process Chihyun Ryu, Bosub Kim p. 59-76
Enhancing the interior design process with crowdsourced furnishing pairing recommendations Semin Jin, Kyung Hoon Hyun p. 79-100

Educational framework for IoT product and service prototyping Changmin Kim p. 103-119
사용자 중심 공간 경험 개선을 위한 경험 매핑 방법론 연구 = Experience mapping methodology for improving user-centered spatial experience 이해인, 정유담, 구유리 p. 121-161

IoT 디바이스를 활용한 구매 자동화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연구 = Navigating the future of retail : user-centric analysis of IoT-enabled automated purchasing systems 서장민, 김동환 p. 163-185

카페서비스로봇의 최적 모션 HRI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The development of optimal motion HRI design for cafe service robots 정현수, 홍성수 p. 187-206
사용자 경험 측정 수단의 국제적 활용 경향에 관한 메타분석 = A meta-analysis on international utilization trends of user experience measurement approaches : digital services and products : 디지털 서비스와 제품 중심으로 이서후, 김승인 p. 209-225
산업현장을 안전한 공간으로 = Creating a safe industrial workspace : service design strategies for preventing safety issues : 안전 문제 예방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전략 최서령, 현은령 p. 227-246
Generative AI 활용 공동디자인 워크숍에서 창의성 향상을 위한 퍼실리테이션과 프로세스 모델 제안 = Proposal of a facilitation and process model for enhancing creativity in co-design workshops with generative AI : the use of ChatGPT : ChatGPT의 활용을 중심으로 이서경, 구유리 p. 249-281

스마트 TV에서 AI 비서의 능동적 제안에 따른 인터렉랙션 사용자 경험 연구 = Interaction based on proactive proposals of AI assistance on smart TV : user experience research 김윤수, 장순규 p. 283-297
식품 새벽배송 서비스(EMFDS) 내 음식물 쓰레기 저감을 위한 디자인 개입 가이드라인 제안 = Proposing guidelines for design interventions to reduce food waste in early morning food delivery services (EMFDS) 진종현, 연명흠 p. 299-315
대화형 인공지능 에이전트와 공감적 소통을 위한 눈 형태 UI 디자인 제안 = Proposal of eye-shaped UI design for empathic communication with AI agents : the emotion of joy : 기쁨의 감정을 중심으로 조윤희, 정의철 p. 317-330

사회적 고립청년의 은둔 극복과 사회관계망 구축을 위한 서비스 방향성 제안 = Proposing service directions to overcome social isolation and to establish social networks among socially isolated young adults 유은, 유예린, 김민경, 정서영, 정집원 p. 333-350
미래 대응 전략과 정책 수립을 위한 정책게임(Policy Game) 툴킷 개발 = Development of a policy game toolkit for establishing future response strategies and policies : design and system thinking theory : 디자인·시스템 사고 이론을 기반으로 서유경, 구유리 p. 353-385
생성형 AI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 mak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designing contents with generative AI : TMSI model for the curriculum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 TMSI 모형에 따른 시각 디자인 전공 교육 사례 장순규 p. 387-401
물질문화 연구에서 나타난 사물의 행위능력과 매개 가능성 = The agency of thing and its capacity for mediation emerged in material culture studies 김정혜 p. 403-413

국내외 연속간행물의 데이터 시각화 적합성 평가 연구 = The suitability of data visualization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serial publications 최서령, 현은령 p. 415-431
일제강점기 궁궐 내 한-양 절충식 실내장식 도입 배경과 창덕궁 내전 벽지의 양식적 특성 규명 = Background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Joseon-Western eclectic interior decoration : wallpaper of Changdeokgung Pala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이지영 p. 433-447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황부용 디자인 활동의 배경과 특징 = The historical context and characteristics of Hwang Buyong’s design activities during the 1970s and 1980s 강현주 p. 449-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