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 받은 트라우마와 결혼생활에서는 남편에게 받은 상처로 자존감이 위축된 중년여성의 자기실현에 대한 여정을 살펴본 모래놀이상담 사례이다. 내담가 자기실현 즉 개성화를 위해 모래놀이상담의 경험이 어떠한 영향과 결과를 보여 주었는지 그 과정을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3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단계는 그림자의 의식화 단계로 내담자가 가족과 남편으로 인해 받은 상처로 무의식에 억압되었던 분노와 슬픔 등이 상징물에 투사되어 나타났다. 2단계는 아니마와 아니무스의 의식화 단계로 그 투사를 점차 거둬들이며 자각과 통찰이 이루어지는 작업을 하였다. 이렇게 자신의 그림자와의 만남, 알아차림 그리고 아니무스의 긍정적인 변화와 함께 이해의 1, 2단계를 거치며 3단계인 자기실현의 과정에서는 화해와 수용의 변환을 보이며 아니무스를 만나 통합을 시도해 가는 여정으로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혼란스러운 감정이 원형적인 상징물로 더욱 활성화되면서 자아 강화를 통한 내적 성장이 이루어졌다. 이에 내담자가 모래놀이상담을 통해 융이 언급한 자가치유력를 발휘하고 상처를 완화 시키며 개성화의 길로 입문하는 자기실현의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신라 토우에서 나타난 애도의 상징적 이미지와 모래놀이상담의 적용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symbolic image of mourning in Silla clay figurines and the application of sandplay counseling 김민정, 임나영 p. 1-21

개의 상징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symbolism of dogs 김영란 p. 51-74

쥐의 상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ymbols of the rat 박신자 p. 75-92

무기력한 10세 남아의 모래놀이상담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sandplay counseling for a helpless 10-year-old boy : from the perspective of Campbell's hero mythology : 캠벨의 영웅 신화론의 관점에서 염영미 p. 93-123

양육 초기에 버려진 여아의 모래놀이상담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sandplay counseling of a girl who was abandoned during her early upbringing 유현정 p. 125-158

모래놀이상담 과정에서 나타난 중년기 여성의 개성화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탐구 = An analytical psychological investigation into the individuation of middle-age woman revealed in the process of sandplay counseling 표정애, 전순영 p. 159-192

자신의 영웅신화를 수행한 20대 남성의 모래놀이 상담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sandplay counseling for a man in his 20s in relation with hero myth 김형준 p. 2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