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육군병사의 진로적응성 향상을 위해 Adler이론에 근거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김창대 외(2011)의 개발모형에 기초하여, 기획 및 목표 수립, 프로그램 구성, 예비 연구, 프로그램 실시 및 검증의 단계를 거쳤으며 최종적으로 회기당 120분, 총 10회기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효과성 검증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총 59명의 육군병사들로서 실험집단 29명, 통제집단 30명으로 배치하였고, 실험집단은 14명과 15명의 두 그룹으로 구성하였다. 모든 참여자를 대상으로 진로적응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미결정 척도를 활용하여 사전·사후·추후(4주 후) 검사를 실시하고, 이요인 반복측정 분산분석과 대응표본 t-검증을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통제 두 집단 간과 사전·사후·추후 세 시기 간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프로그램은 진로적응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향상, 진로미결정의 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은 모든 변인에 대해 사전-사후, 사전-추후 검사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추후는 점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통제집단은 시기에 따른 검사점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육군병사의 진로적응성 향상을 위한 Adler이론 기반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areer counseling program based on Adler’s theory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in improving the career adaptability of army soldiers. The program development was based on the model porposed by Kim et al. (2011). The process went through of 4 stages: planning and goal establishment, program composition, preliminary research, and program implementation and verification. The final program consisted of 10 sessions, each lasting 120 minutes. The study involved 59 army soldiers who participated in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29 people and a control group of 30 people. The experimental group was further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ith 14 people and the other with 15 people. Pre-, post-, and follow-up tests (conducted 4 weeks later) were administered to all participants using scales for career adaptabilit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indecis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wo-factor repeated measures ANOVA and paired-sample t-test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repeated measures ANOVA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he three time periods before(pre-), after(post-), and follow-up, the program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reducing career indecis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paired-sample t-te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for all variables in the ‘pre-post’ and ‘pre-follow up’ mean scor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scores between ’post-follow up’. In contrast,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verage scores across different time period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career counseling program based on Adler’s theory for improving the career adaptability of army soldiers were discuss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상담의 정체성과 상담사의 역할 = The identity of counseling and the role of counselor : a subject of non-medical social services : 비의료적 사회서비스의 주체 이종범, 김수임 p. 1-23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arental academic pressure on college students’ academic stress : the seri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self-regulation :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적 자기조절의 순차적 매개효과 김규연, 김창대 p. 25-42

내담자 자살을 경험한 숙련상담자의 외상 후 성장 경험 = Post-traumatic growth process of experienced counselors after their client’s suicide 민선홍, 서미아 p. 43-70

자립준비청년의 심리상담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Exploring the counseling experiences of youth transitioning from the child welfare system : a consensual qualitative analysis 손수민, 이정우, 이예인, 박현숙, 이소연 p. 71-99

초심상담자의 부모화 돌봄 및 부모화 불공평 경험이 공감적 이해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arentification caregiving and parentification unfairness experience on empathic understanding in novice counselors :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김주희, 김경희 p. 101-119

상담자의 성인애착과 공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불안과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adult attachment and empathy 김완지, 유성경 p. 121-145

진로전환 상담자의 발달 경험에 관한 해석현상학적 분석 =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development process of career transition to counselor : focused on middle-aged male counselors : 중년남성 상담자를 대상으로 이성희, 박경애 p. 147-173

육군병사의 진로적응성 향상을 위한 Adler이론 기반 진로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Development and effect of career counseling program based on Adler’s theory to improve career adaptability of army soldiers 송영숙, 김지연 p. 175-205

내적자원 중심 상담성과 척도(IRECOS)의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Internal Resources based Counseling Outcome Scale (IRECOS) 이성욱, 김수임 p. 207-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