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미국인과 한국인이 참여하는 일상적 활동 중 공통된 활동을 도출하는 것과(연구 1) 생애주기 변동에 따라 한국인의 활동 참여 패턴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연구 2).

연구방법 : 온라인 조사를 통해 Activity Card Sort version 3 (ACS-3)를 미국인과 한국인에게 적용하였다. 연구 1에서는 100개 활동에 대한 참여수준의 평균을 분석하고 결과를 시각자료로 제시했다. 연구 2에서는 4개 연령집단의 참여수준의 평균이 ACS-3의 4개 도매인별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고 시각자료로 제시했다.

결과 : 연구 1에서는, 161건의 미국인 자료와 163건의 한국인 자료를 분석하였다. 100개 활동 중, 48개 활동(수단적 활동: 20개, 여가 활동: 13개, 건강 활동: 6개, 사회활동: 9개)에서 두 국가간 유사한 참여수준을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420건의 한국인 자료를 분석하였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모든 수단적 활동을 제외한 모든 도매인에서 참여수준이 저하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결론 :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도 공통적인 일상활동은 작업치료에서 문화의 제한을 받지 않는 치료적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노인의 일상활동 참여를 최적화하기 위한 보호적 접근과 지지가 제안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ommon activities with similar participation levels between community-dwelling individuals in the United States (US) and South Korea (Study 1), and analyze the changes in activity participation patterns across the adult lifespan in South Korea (Study 2).

Methods : We administered the online survey-based Activity Card Sort version 3 (ACS-3) to adults living in the US and South Korea. In Study 1, we computed the average participation level and visualized 100 activities of the ACS-3 from both the US and Korean samples. The average participation level across the four age groups in Study 2 was calculated and visualized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patterns of involvement across the four ACS-3 domains in a Korean sample.

Results : In Study 1, data from 161 Americans and 163 Koreans were analyzed. Of the 100 activities, 48 (instrumental: 20; leisure: 13; fitness/health: 6; social: 9) demonstrated similar levels of participation between the two samples. In Study 2, data from 420 Koreans were analyzed and a tendency for decreased participation with age was found in all domains, except for the instrumental domain.

Conclusion : Common daily activities may be used as a means of intervention across cultures in occupational therapy. Protective approaches and support are recommended to optimize older adults’ participation in daily lif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자폐 스펙트럼 장애 섭식장애 평가의 이해 = Understanding assessment for feeding disorders in autistic spectrum disorders : a literature review : 문헌 고찰 민경철, 김보경 p. 9-25

노년 인구의 주거환경 평가도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 Systematic review of assessment tools for the housing environment of the old adults population 임영명 p. 27-40

청소년을 위한 연세 라이프스타일 프로파일(Yonsei Lifestyle Profile)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Verify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Yonsei lifestyle profile for adolescents 김아람, 임영명, 박지혁 p. 41-51

Identifying common daily activities performed by older adults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and changes in activity participation across the adult lifespan in South Korea = 미국성인과 한국성인의 공통적 일상활동과 한국인의 생애주기 변동에 따른 활동참여 변화 Park, Sangmi, Lisa Tabor Connor, Lee, Yejin p. 53-67

중고령 노인의 개인적 가치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분류 = Identifying personal values influencing the lifestyle of older adults : insights from relative importance analysis using machine learning : 머신러닝을 활용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임승주, 박지혁 p. 69-84

성인 발달장애인 대상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작업치료 프로그램이 일상생활활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an instrumental daily living activities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their daily living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정은화 p. 8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