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목적: 여대생들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피부 상태 및 타입에 따라 선호하는 뷰티테라피를 조사하고, 여대생들이 자신의 피부 상태와 타입을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분석하여 다양한 피부 타입에 맞는 최적의 뷰티테라피를 제안하고자 한다. 방법: 뷰티테라피와 자신의 피부 상태 및 타입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는 미용 전공 학생 중, 뷰티테라피 관련 수업을 4학기 이상 수강한 자로 선정하였으며 158부를 최종 통계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결과: 본인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피부상태 및 타입으로 복합성 피부가 많았으며, T-Zone과 양 볼의 유분 상태에 차이가 크며 볼 면의 유분과 수분의 부족으로 인해 민감하다고 느꼈다. 주관적 피부상태 별 타입과 뷰티테라피 선호도 차이에서 복합성에서 마사지테라피를, 지성에서 팡고테라피를, 건성 피부로 자각하는 경우에 초코렛테라피가 높게 나타났다. 주관적 피부상태 별 타입과 뷰티테라피 만족도 차이에서 지성의 경우 얼굴이 깨끗해지고 피부가 촉촉해지며 피부 속이 쫀쫀해진 느낌에 만족한다고 하였고, 지성과 민감성 피부의 경우 뷰티관리 시 향에 대해 만족감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피부 상태 특성을 반영한 뷰티테라피 프로그램으로 마사지테라피와 함께 아로마테라피와 초코렛테라피를 병행하여 수·유분발란스를 높이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여겨진다.

目的: 根据女大学生主观感知的皮肤状况和类型调查了她们偏好的美容疗法,以及女大学生如何评估自己的皮肤状况和类型,以针对不同皮肤类型提供最佳的美容。方法: 从参加美容治疗相关课程4个学期以上的学员中,选出能够正确识别美容治疗以及自身皮肤状况和类型的美容学生,共158份作为最终的统计分析数据。结果: 根据个人的主观皮肤状况和类型,大多数认为是混合性皮肤,且T区和双颊之间的油脂含量存在显着差异,并且由于脸颊区域缺乏油脂和水分而感觉敏感。从主观皮肤状况类型和美容治疗偏好差异来看,混合性皮肤强烈推荐按摩疗法,油性皮肤推荐Pango疗法,干性皮肤推荐巧克力疗法。在主观皮肤状况类型和美容治疗满意度差异方面,油性皮肤的人表示对面部清洁、皮肤滋润、皮肤紧致的感觉感到满意,而油性和敏感皮肤的人则非常满意美容时带有香味。结论: 作为反映这些皮肤状况特征的美容治疗方案,将芳香疗法和巧克力疗法与按摩疗法相结合以增加水油平衡被认为是合适的。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엘더플라워(Sambucus nigra)를 활용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주름개선 및 항산화 효능 평가 = Anti-wrinkle and antioxidant effects of elderflower (Sambucus nigra) water extract as a functional ingredient of cosmetics 정효정, 허서연, 이재화 p. 175-183

In vitro biological activities and relative chemicals in different extracts of licorice and fermenting licorice = 감초 및 발효감초의 다양한 추출물의 In Vitro 생물학적 활성 및 관련 화학물질 Zaijun Geng, Miaomiao Guo, Huirong Zhang, Guanjie Song, Xiaohui Zhang, Xiaoyan Gong, Li Li p. 185-196

Lipid profiling of oily skin in Chinese female aged 22-28 and 29-35 defined by the life rhythm theory of Huangdi Neijing = 《황제내경》의 생체리듬이론으로 정의된 22-28세 및 29-35세 중국 여성의 지성 피부에 대한 지질 프로파일링 Yuxin Song, Wenyu Ding, Jinyue Sun, Yongxian Bi, Jinjun Liu, Xiaoyan Dai, Congfen He, Huaming He, Yan Jia p. 197-209

파라페닐렌디아민으로 세포 독성 및 염증을 유도한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Derma GenieTM-H002의 세포 보호 및 항염증 효과 = Cytoprotec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Derma Genie™-H002 against paraphenylenediamine-induced cytotoxicity and inflammation in RAW 264.7 cells 박석묵, 임예진, 김희수, 신희재, 정석윤, 조수현, 김지선, 백세열, 안성관, 배승희 p. 211-224

저분자 펩타이드 복합물이 함유된 화장품의 항산화, 항 광노화 및 항 주름 효과 = Antioxidant, anti-photoag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cosmetics containing low-molecular-weight peptide complexes 한도숙, 김기숙 p. 237-248

실크아미노산이 모발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ilk amino acids on hair 유세은, 김옥연 p. 249-260

학과만족도를 매개 변인으로 피부미용 관련 전공 대학생의 진로성숙도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areer maturity on career-decision-making via departmental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studying skincare 김문주 p. 261-272

화장품 소비자의 차별화된 기호가치 소비 브랜드군에 대한 담론의 비교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n discourse reviews about differentiated semiotic value consumption brand groups in cosmetics consumers : focusing on text mining : 텍스트 마이닝을 중심으로 송만석, 조윤재, 임미주 p. 273-300

중국 샤오홍슈 앱 내 K-뷰티 콘텐츠가 국가이미지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K-beauty content on national image and visit intentions within the Chinese XiaoHongShu app 김진희, 최호수 p. 301-311

달맞이꽃 추출물의 피부 진정에 관한 연구 = Skin-soothing effects of Oenothera biennis flower extract 임예지, 노경백, 유지영, 전수원, 조은애, 김홍배, 박덕훈, 정은선 p. 313-321

퍼스널 컬러를 적용한 파운데이션 컬러 분류 연구 = A study on foundation color classification with the application of personal colors 최영미, 배승희 p. 323-334

알칸디올의 세포독성 및 항균력의 상관관계와 적용한 제형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Correlation of cytotoxic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alkandiols and their impact on stability in emulsions 김보라 p. 335-343

여대생의 주관적 피부 상태와 뷰티테라피 선호도 = Subjective skin condition and beauty therapy preference of female college students 전해정 p. 345-355

성인 남성의 라이프스타일이 두피 건강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adult men’s lifestyle on scalp health 고희라, 이명선 p. 357-369

20대 여대생의 피부 톤과 헤어컬러에 따른 얼굴이미지 변화 인식 조사 = Investigation of the perception of facial image changes according to skin tone and hair color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윤수희, 정원지 p. 225-235

참고문헌 (2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Relationships of Food Habits & Life Style and Skin Health of Young Females 미소장
2 Effect of dark chocolate on plasma epicatechin levels, DNA resistance to oxidative stress and total antioxidant activity in healthy subjects 미소장
3 Therapeutic uses of Mud therapy in Naturopathy 미소장
4 Preventive Effects of Cocoa and Cocoa Antioxidants in Colon Cancer 미소장
5 The Effects of Essential Oil Inhalation on the Stress and Sympathetic Nerve Activity 미소장
6 Effects of Beauty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Mood State in Elder Women 미소장
7 Satisfaction and Management Attitude for Skin according to Age and Skin Type 미소장
8 The Influence of Aromatherapy to Relieve Stress 미소장
9 A Change of Skin Oil and Moisture and Skin pH according to the Use of Weak Acidity Facial Cleanser of School-age Children 미소장
10 A Study on the Effects of Aroma Blending Oil(Carrot seed, Geranium, Lemon, Jojoba) on Atopy Dermatitis 미소장
11 Comparison of determined skin types by different factors of facial skin hydration, sebum content and surface pH levels 미소장
12 A Theoretical Study on Thalassotherapy 미소장
13 Promotion Directions of Spa Industry Using Local Resources in Jeju Island, Korea 미소장
14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Actual Conditions of Aromatherapy focusing on female college students in Beauty-Related Dept 미소장
15 A Study 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Facial Skin Measured Using Non-invasive Method and Correlations in Some College Women 미소장
16 A Study for Antistress Effects of Two Aromatic Synergic Blending Oils 미소장
17 Behavioral Study on the Use of Cosmetics and Skin-Care Products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미소장
18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Cacao Bean Husk (Theobroma cacao Linn.) Powder 미소장
19 A Study on the Analysis Method of Skin Condition through Visual Confirmation of Skin Surface 미소장
20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beauty therapy using beauty management programs 미소장
21 Antibacterial Effect of Aroma Oil on Stophylococcus aureus and S. epidermidis 미소장
22 Development of Scale Factors for Skin Type Classification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