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적: 고용량 스테로이드 주사 후 임상 활동도 점수(clinical activity score, CAS), 안구돌출도, 눈꺼풀각막반사간거리1 (margin-reflex distance 1, MRD1), 자가항체 수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갑상샘눈병증 진단 후 고용량 정맥 스테로이드 주사한 83명의 환자에 대해 후향적 연구가 이루어졌다. 안구돌출도, MRD1, CAS, 갑상샘자극항체(thyroid-stimulating antibody, TSAb), 갑상샘자극호르몬수용체항체(thyroid-stimulating hormone receptor antibody, TSHR Ab)는 치료 시작 전 기저 수치, 치료 시작 6주, 12주 후, 치료 종료 2개월 후 평가되었다. 또한 기저 혈청 셀레늄 수치가 치료 예후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평가되었다.
결과: TSAb, TSHRAb 그리고 CAS는 치료 종료 2개월 후까지 지속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각각 443.2 specimen-to-reference control ratio (SRR%)에서 341.03 SRR%, 22.18 IU/L에서 7.91 IU/L, 3.37에서 1.88 (p〈0.0001)로 나타났다. 안구돌출도는 기저 수치와 비교하여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는 시점은 없었으며, MRD1은 치료 시작 12주째 감소를 보였으나, 치료 종료 2개월 후에는 차이가 확인 되지 않았다. 기저 혈청 셀레늄 수치와 안구돌출도, MRD1, TSAb, TSHR Ab, CAS의 변화 간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고용량 정맥 스테로이드 치료는 TSAb, TSHR Ab 및 CAS의 개선에 있어 효과적이며 치료 종료 2개월째까지도 지속된 효과를 보여준다. 하지만 눈꺼풀뒤당김 및 안구돌출도의 완화 측면에 있어서는 한계가 확인되며, 기저 셀레늄 수치는 임상 양상 변화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