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야기를 구상하고, 또 널리 알리고 싶어 하는 호모 나란스 Homo narrans에게는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삶이 이야깃거리가 된다. 그런 이야기들은 각 시대적·문화적 배경에서 다채로운 주제와 서술 형식을 취한다. 본 연구는 ‘독일어권에서 높이 평가되는 이야기와 주제는 무엇이며, 어떤 방식으로 (재)생산되는가’, 라는 물음에서 출발한다. 18~19세기 이래로 오랫동안 독일적인 색채가 강하게 가미되었다고 인정받는 근·현대 교양소설의 특징적인 성장 서사, 즉 시민적인 문제성이나 문제의식을 지닌 한 인간이 자아를 인식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세계와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기까지의 인생 여정이, 오늘날 주도적인 서사 매체로 자리매김한 영화 속에서 어떻게 유희적으로 변환되어 이야기되는지를 조명한다. 이에 평범한 시민들의 성장을 이야기하는 랄프 후에트너 감독의 영화 〈빈센트 – 바다, 혹은 더 많은 것을 찾아서〉에서 전통적인 교양소설의 성장 서사가 주제, 소재, 인물 구성 및 주요 모티프 등 다양한 비틀기를 통해 해체되고 있음을 논의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다르덴 형제와 켄 로치 감독의 ‘노동 영화’, 자크 엘륄의 변증법적 사상으로 해체하기 = 'Labor films' by the dardenne brothers and Ken Loach, reconstructing through Jacques Ellul's dialectical discussion 김소영 p. 9-30

주인공의 욕망에 나타난 기호의 차연과 허수적 서사 구성 = Différance in symbols and imaginary narrative transformations in the protagonist's desires : focusing on the turing test and paradox in the movie <The Imitation Game> : 영화 <이미테이션 게임>에서 튜링테스트와 패러독스를 중심으로 김영선, 김태수 p. 31-51

영화 <빈센트 – 바다, 혹은 더 많은 것을 찾아서>에서 나타나는 독일 근⋅현대 교양소설의 성장 서사 비틀기 = An attempted twist of the growth narrative in modern and contemporary German bildungsroman, as depicted in the film <Vincent Wants to Sea> 김진숙 p. 53-78

1980년대 특촬물에 나타난 특수촬영기술과 사회적 욕망 = Special effects and social desire observed in Tokusatsu in the 1980s 박소영 p. 79-100

영화 <동주>의 창 이미지 연구 = A study on window images from the movie <Dongju> 이명보 p. 101-122

<바바라>(Barbara)에 나타난 고고학적 태도와 크리스티안 페촐트의 영화적 지향 = Archaeological attitudes and the cinematic self-consciousness of Christian Petzold in <Barbara>(2012) 이주봉 p. 123-143

슈퍼히어로 영화의 원형으로서의 서부극 = A Western as a prototype of a superhero film : focusing on the meaning as an American mythology : 미국적 신화로서의 의미를 중심으로 이현중 p. 145-166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영화 시대문화 속 로컬리티 = Locality in the culture of the virtual reality cinema era 정인선 p. 167-185

에드워드 양 감독 영화에 나타난 재지성(在地性)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ocality' in director Edward Yang's films 한루, 정태수 p. 187-211

지아장커(賈樟柯) <플랫폼(站台)>(2000)의 교통수단 오브제 활용 연구 = A study on the use of transportation objects in Jia Zhangke's <Platform (站台)> (2000) 호미 p. 213-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