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오무라 마스오는 일본의 제1세대 한국근대문학 연구자, 번역가, 그리고 자료수집가였다. 식민지와 냉전으로 인해 한국근대문학 자료는 북한, 한국, 중국, 일본에 산재하였다. 오무라는 연구와 번역에 앞서 자료를 수집해야 했다. 오무라는 재일조선인의 서재, 북한의 출판물, 일본의 도서관을 통해서 한국근대문학 자료 수집을 시작한다. 한일기본조약 체결 이후 그는 김윤식, 임종국 등 한국의 연구자들과 함께 자료를 발굴하고 공유하며, 서로의 연구를 검토하고 번역하였다. 오무라의 아카이브와 번역, 그리고 연구는 한국근대문학 연구의 본원적 축적에 기여하였다. 또한 오무라는 일본, 한국, 중국 등 여러 나라의 도서관을 통해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그것을 목록집, 자료집, 문학 지도 등으로 공간하였다. 오무라는 자신이 정리한 자료를 널리 공유하여 연구자들이 자유롭게 활용하도록 하여, 다양한 번역과 연구의 시각의 경합과 풍요로운 지식의 생산을 지향하였다. 오무라 마스오의 아카이브는 한국근대문학 연구의 토대가 형성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동시에, 지식의 ‘열린 공공성’을 지향하는 연구의 태도를 시사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오무라 마스오를 따라 일제 말기 제주 문학 읽기 = Reading Jeju literature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along Omura Masuo 윤대석 p. 9-38

오무라 마스오의 ‘프로문학’ 연구 = A study of ‘proletarian literature’ research conducted by Masuo Omura 정종현 p. 39-66

청년 오무라 마스오와 한국문학 = 青年、大村益夫と韓国文学 : 中国文学から韓国文学への転換を中心に : 중국문학에서 한국문학으로의 전환을 중심으로 곽형덕 p. 67-90

오무라 마스오의 아카이브 = Omura Masuo’s archive : basis of research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ideology of ‘open publicness’ : 한국근대문학 연구의 토대와 ‘열린 공공성’ 장문석 p. 91-137

일본인에 의한 한국현대문학연구와 오무라 마스오(大村益夫) = Research on modern Korean literature by Japanese scholars and Masuo Omura : focusing on the post-1945 period : 1945년 이후를 중심으로 시라카와 유타카 p. 139-152

비카프작가의 소설에 나타난 전향 양상 연구 = 非卡普作家小说中的转向样相研究 조가, 이해영 p. 351-394

6.25전쟁기 북한 문예운동사 연구 = A study on the history of North Korea’s literature and arts movement during the Korean War : from the formation(1951.3) to the dissolution(1953.9) of 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 Alliance” of South and North Korea : 통합 ‘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결성(1951.3)에서 해체(1953.9)까지 김성수 p. 531-560

영화, 영사기 그리고 ‘청계천’ = Movies, film projectors, and ‘Cheonggyecheon’ : illegality/legality of the diffusion of film screening technology during the Cold War period : 냉전기 영화상영 기술 확산의 비/합법성 위경혜 p. 681-705

‘전사(全史)’라는 욕망, 전사(前史)가 된 ‘최초의 정사(正史)’ = Desire for ‘complete history,’ the ‘first official history’ that became ‘prehistory’ : centering on Roh Man’s The History of Korean Film : 노만(魯晩)의 『한국영화사』(1964)를 중심으로 남기웅 p. 707-734

엘.베. 니콜스키(Л.Б. Никольский)와 『한국어의 보조적인 단어』 = L.B. Nikolsky and Auxiliary Words in Korean 칼리나 p. 229-260

‘취미’ 단원을 중심으로 한 일본의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 A study on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used in Japan focusing on the ‘hobby’ unit 신인환, 김문기 p. 263-298

한국어 문화소에 관한 기계번역과 인간번역의 비교 분석 연구 =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human translation and machine translation of Korean culture-bound terms 노금송, 왕원 p. 299-318

1900~1920년대 한·일 <두더지(쥐) 혼인> ‘동화’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The Mole(rat) Marriage”, a ‘fairy tale’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1900s and 1920s 염희경 p. 319-350

이육사의 사상의 기원 = The origins of Yi Yook-sa’s thought : focusing on newly discovered articles of Yi Yook-sa during his time as a reporter for the Chosun Ilbo : 새로 찾은 『조선일보』 기자 시기 이육사의 글을 중심으로 홍석표 p. 395-495

폐허에서 동심을 발견하는 두 가지 방법 = Two different ways of discovering the child’s heart in ruins : focusing on Park Hwa-Mok and Son Dong-In : 박화목과 손동인을 중심으로 강수환 p. 561-590

‘육화(肉化)’의 문학적/정치적 상상력 = The literary/political imagination of “incarnation” : between The Square(廣場) and Whadoo(話頭), or the Gospel of John, 1:1, as quoted in The Viceroy’s Voice : 『광장』과 『화두』 사이, 혹은 「총독의 소리」에 인용된 「요한복음」 1장 1절 윤인로 p. 771-793

신중국 건국 전후 번역된 ‘북조선’ = ‘North Korea’ translated before and after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 focusing on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We Saw North Korea : 『우리는 조선을 보았다』의 번역과 간행을 중심으로 劉惠瑩 p. 497-529

추만 정지운의 「천명도」 분석 = Analyzing Chu Man Jeong Jiun’s “diagram of the heavenly mandate” : “生物”과 “命物”, 그리고 “天人一體” 강경현 p. 591-617

조선 초 祈雨祭 시행의 당대적 맥락과 災異論의 특징 = Historical context of the implementation of rain-making rituals and the features of the theory of portent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허태구 p. 619-646

장서각 소장 『통리아문선생안』 분석 = A study on the analysis of TongliAmun-Seonsaengan(統理衙門先生案) in Jangseogak(藏書閣) : on the professionalism of the operation of the Foreign Office and the interrelationship of its members :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운영의 전문성과 인적 구성의 상관성 정소영 p. 647-679

K-pop 여성 아이돌의 유튜브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제의적 요소 = The ritual elements appearing in the YouTube music video of a K-pop female idol group : a comparative study of <Danggeumaegi> and <Unforgiven> : <당금애기>와 <언포기븐>의 비교 고찰 최재경 p. 735-767

독일 상트 오틸리엔수도원 선교박물관 소장 조선 후기 “益山戶籍” 자료의 書誌的 재검토 = Bibliographical reconsideration of family regist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possessed by the Mission Museum of St. Ottilien Archabbey, Germany 임학성 p. 155-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