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쌍수도(雙手刀)는 일본 가게류(かげりゅう) 검술의 「영류지목록」에 바탕한 무예로서, 왜구를 통해 중국으로 전래되었다가 임진왜란 당시 조선으로 전해진 무예이다. 이처럼 특징적인 쌍수도의 형성 및 전승 과정으로 인하여, 쌍수도는 전근대 동북아시아 검술의 교류 양상을 보여줄 수 있는 소재로서 주목받았다.

조선에서는 여러 무예서를 편찬하여 쌍수도의 기법을 전승했는데, 이때 단순히 원래의 것을 그대로 기록한 것이 아니라 조선에 전해져 변화한 쌍수도의 무예를 정리했다. 지금까지는 조선에서 명의 『기효신서』의 무예에 관한 내용을 추출하여 1598년에 『무예제보』를 편찬한 뒤, 1790년 『무예도보통지』에 이르러서야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파악했다. 하지만 그 사이에 조선에서 자체적으로 재편집한 조선본 『기효신서』와 『무예제보』의 내용을 일부 수정하여 다시 중간본 『무예제보』를 간행했고, 이때 이미 쌍수도 도판에 변화가 나타났다.

이 논문에서는 조선본 『기효신서』와 중간본 『무예제보』를 함께 검토함으로써 쌍수도의 기법에 나타난 변화의 하한을 더 이른 시기로 파악했다. 또한 검의 파법(把法)과 같이 도판의 세부적인 부분을 비교ㆍ분석하여 그 변화의 무예로서 의미를 구명했다. 마지막으로 쌍수도 도판에 이러한 변화가 나타난 배경에 대해서 『기효신서』의 경우 개별적 세(勢) 중심의 훈련법을 추구했던 반면, 조선의 경우 투로(套路) 중심의 훈련법을 지향했기 때문에 조선에서는 각각의 동작을 부드럽게 연결하되 각 세의 의미를 해치지 않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동작을 변경한 것임을 밝혔다. 흔히 조선 후기 무예서 편찬을 명군이 전해 준 『기효신서』의 무예를 무비판적이고 수동적으로 받아들인 결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나, 이번 쌍수도 도판 변화의 분석을 통해 조선군이 『기효신서』의 무예를 실제훈련을 통해 해석하고 수정하며 ‘조선화’하는 과정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인디음악가, 한국 영화를 채우다 = Indie musicians and Korean movies : music technology, creativity, and transformation of the movie industry : 음악, 기술, 창의력과 영상산업의 변동 조일동 p. 7-45

조선시대 북한산과 불교의 연고 = Relationship between Mt. Bukhan and Buddhism during the Joseon period : focusing on temples and monks’ militia on the mountain : 사찰과 산성 승군을 중심으로 김용태 p. 47-74

조선시대 종묘 오향대제용 제기(祭器)의 상호관계와 성격 = Interrelationships and characteristics of ritual vessels for the Five-Hyang Daeje at Jongmyo Shrine during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ritual vessels placed on the sacrificial table and drinking table in Jeongjeon : 정전 제상과 준소상 제기를 중심으로 구혜인 p. 75-130

조선 후기 무예서에 나타난 쌍수도 도판 변화와 그 의미 = Changes in the double-handed sword images shown in martial arts book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s meaning 허대영, 박금수 p. 131-168

달항아리의 저변에 흐르는 주자학적 선비 정신 = The Seonbi spirit of Neo-Confucianism that flows beneath the moon jar 김상희 p. 169-203

한국학 데이터 표준화 방안과 공공데이터 정책 = Approaches to standardazing Korean studies data : policy of public data 서동신 p. 205-241

양시교의 고문역에 대한 신후담의 이해 = Sin Hudam’s understanding of Yang Shiqiao’s Guwenyi (Zhouyi in ancient characters) : Sin Hudam’s Du Lintang Yangshishiqiao Gujinwenyi jiyi and Yang Shiqiao’s Zhouyi gujinwen quanshu : 『독임당양씨시교고금문역기의』와 『주역고금문전서』를 중심으로 방인 p. 243-281

무신란 피란 문인 시문을 통해 본 남한강 유역의 피세 공간 = River basin in Namhan-gang as a space of avoiding the world through literary works of literati who fled from the Mooshin revolt 이새롬 p. 283-317
김희락의 『고식』에 수록된 「중용강의」 조대의 구성과 내용 = A study on composition and content of replies to questions in Jungyong Gangui from Gosik (故寔) by Kim Heerak 김기엽 p. 319-351

조선 왕실 가례의 동뢰연 음식상 구성과 음식 배치 = Table arrangement and characteristics of food served at royal weddings in the Joseon Dynasty 김해인 p. 353-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