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최근 들어 해외 국가들의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영향력 공작의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 영향력 공작은 인지전, 해외정보조작개입, 해외악성정보위협 등 다양한 개념으로 불리고 있으나 대체로 모두 허위정보 또는 정보조작을 통해 대중인식조작을 기도한다는 점에서 같은 의미를 담고 있다. 이 같은 영향력 공작은 오늘날 단순한 프로파간다나 영향력 투사의 차원을 넘어 인지전이라고 불릴 정도로 중대한 전쟁차원의 국가안보의 위협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영향력 공작의 위협은 특히 전쟁과 평화의 전통적 구분을 희석시키고 평화 시에도 민간인들을 대상으로 한 해외 국가로부터의 악의적 정보조작을 통한 중대한 국가안보의 도전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그 심각성이 크다. 특히 그와 같은 영향력 공작 수행에 소셜미디어가 주요한 무기로 동원되고 있어 이에 대한 이해와 대응의 필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한국에 가장 주요한 위협이 되는 세력인 북한 역시 이 같은 영향력 공작을 수행하고 있으며, 소셜미디어는 그와 같은 북한의 영향력 공작에 가장 주요한 수단 중에 하나로 활용되고 있다. 북한은 최근 들어 전통적인 대외 심리전 방식에서 벗어나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한국 및 해외의 대중들의 인식과 생각, 판단에 은밀히 영향을 미치고 대중담론에 영향을 미치려는 시도를 하고있다. 이는 오늘날 정보환경과 영향력 공작의 트렌트에 부응하여 북한의 대외 영향력 공작이 진화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이 같은 북한의 대외 영향력 공작의 새로운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그 위험성을 평가하는데 초점을 둔다. 이 연구에서는 북한을 소개하는 유튜브 계정인 New DPRK 동영상들을 분석하고 대외 대상청중들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내러티브 트랜스포테이션 이론을 근거하여 질적분석을 수행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청소년의 긴장이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juveniles’ experience of strain on status offense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bonding factors : 사회유대 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강준규, 이창배 p. 1-19

조직지원인식, 직원몰입, 지식공유의도, 적응수행 간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employee engagement, knowledge sharing intention and adaptive performance : focusing on police officers in Korea : 경찰공무원을 중심으로 고수민, 정혜경 p. 21-41

한국형 자치경찰제 정착을 위한 미국 자치경찰제도 연구 = Study on the American autonomous police system to establish a Korean-style autonomous police system 김순석 p. 43-60

자치경찰과 주민참여 교통안전정책 =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citizen participation in traffic safety : a case analysis of living labs : 리빙랩 활용 사례 분석 김중곤 p. 61-81

COVID-19 전후에 나타난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와 사이버불링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mental health problems and cyberbullying before and after COVID-19 박주애, 윤여원 p. 83-103

재난관리에 대한 경찰책임의 한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imits of police responsibility for disaster management 박형식 p. 105-119

북한의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영향력 공작과 내러티브 트랜스포테이션 = North Korea's influence operations utilizing social media and narrative transportation 윤민우 p. 141-160

경찰 직무만족도, 시민 체감안전도, 시민 치안만족도 간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 Examin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among police job satisfaction, citizen perceived safety, and citizen security satisfaction : applying satisfaction mirror theory : 만족거울이론의 적용 이명우 p. 161-178

AI의 112 상황실 적용 및 기대효과 = Application and expected effects of AI in 112 situation control center : focusing on receiving calls and police language model development : 신고 접수와 경찰 언어모델 개발을 중심으로 황정용 p. 179-198

경제안보 관련 주요국의 추진 전략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omotion strategies of major countries related to economic security : focusing on the recent trends in the law and system : 최근 법·제도의 동향을 중심으로 성진기, 이범오 p. 121-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