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해양수산과학기술 분야의 창업 활성화와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기술지주회사 모델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한국의 공공기술 창업 현황과 정책, 해양수산 시장의 성장 잠재력, 그리고 과학기술의 현재 상태 및 직면한 도전 과제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공공기술의 상업화와 창업을 촉진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한다. 특히, 해양수산 분야는 연구개발 성과의 기술사업화와 창업이 미흡한 상황이기 때문에 기술지주회사 모델을 통한 창업 활성화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는 Isenberg의 창업생태계 모델에 기초하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설문조사를 통해 기술사업화 및 창업 요인의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기술지주회사 설립의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해양수산과학기술 창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책, 시장, 인적 자본, 지원, 자금, 그리고 문화의 6대 요소가 상호 작용하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6대 구성요소의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KIOST 홀딩스'와 같은 기술지주회사의 설립이 요구된다. 정부와 관련 기관은 연구개발 지원 확대, 창업 및 기술사업화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그리고 기술지주회사 및 연구소기업에 대한 법적, 재정적 지원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해양수산과학기술 창업 활성화를 위한 기술지주회사 모델의 도입은 해양수산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학 벤처투자 역량의 조절 효과를 통한 기업가적 대학 성과에 관한 연구 = The moderating effect of university venture investment capabilities on entrepreneurial university performance :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performance : 대학생 창업 교육 및 성과를 중심으로 이동희, 이상한 p. 1-18

해양수산과학기술 창업활성화를 위한 기술지주회사 모델 연구 = A study on the technology holding company model for activating entrepreneurship in marine and fisheries science and technology 홍은영, 안기돈, 김민석 p. 19-41

일·생활 불균형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work-life imbala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 focusing on its mediating effects on entrepreneurship and regulating effects on the adversity quotient : 기업가정신 매개 및 역경지수 조절효과 중심으로 임재성 p. 43-65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이 청소년기업가정신지수에 미친 영향 = The effect of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the youth entrepreneurship index 김종성, 김도현, 이우진, 김수진 p. 67-84

4년제 대졸 취업자의 NCS 직업기초능력 요구 분석 = Analysis of the NCS basic occupational competencies required for university graduates' employment 남선혜, 이영민 p. 103-120

경찰공무원의 퇴직준비역량과 교육참여도가 경제활동의지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retirement preparation capabilities and educational experience on the post-retirement economic activity intention of police officiers[실은 officer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role models : 롤모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재진, 하규수 p. 85-102

조직 내 세대 갈등과 시니어의 기대 역할 = The expected roles of seniors in the workplace for addressing intergenerational conflict : a movie review analysis : 관련 영화 리뷰 분석을 활용하여 김서우, 김성록, 최화준 p. 121-137

(The) effect of digital social responsibility on brand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with moderating role of blockchain technology = 블록체인 기술의 중재 역할을 통한 디지털 사회적 책임이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Nilufar Safarova, Hyunjeong Kim p. 139-164

임팩트채권 프로젝트의 성공 요인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f the success factors of impact bond projects : focusing on Asia and Africa : 아시아와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이예은, 이종현, 곽재성 p. 165-191

MZ세대의 개인적 특성과 롤모델, 불안감이 창업기회인식을 매개로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role model, and anxiety of the MZ genera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opportunity recognition 조진아, 하규수 p. 193-210

창조경제혁신센터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creative economy innovation center 김가연, 윤민우, 남정민 p. 211-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