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완도군립도서관의 복합문화도서관 이전 건립 타당성을 조사하여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입지적 타당성, 관련 법률, 상위 계획 및 관련 계획, 설문조사를 포함한 정책적 타당성과 편익-비용 비율법(B/C)을 적용한 편익 산정과 경제적 파급효과를 포함한 경제적 타당성 결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정책적 타당성은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제적 타당성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복합문화도서관 이전 건립으로 인해 사회적 편익이 발생하고 파급효과가 산출되었기에 완도군 공공도서관의 복합문화도서관 이전 건립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도서관 건립 추진 사업을 준비하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feasibility of relocating and building the Wando-gun Library into a multicultural library. For this purpose, the results of policy and economic feasibility, including locational feasibility, related laws, high and related plans, and surveys wereexamin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policy feasibility was secured and economic feasibility was insufficient, but it is judged that some of it was secured because the ripple effect was calculated by the occurrence of social benef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data to prepare for a project to promote the construction of a library as a multicultural spac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해외 주요 도서관 온라인 자료 수집 현황 분석을 통한 국립중앙도서관의 수집 방향성 및 활용 방안 도출 연구 = A study on the national library’s collection strategy and utilization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online material collection status of major libraries abroad 노영희, 정영미, 손애경, 장인호, 이경선, 차현주 p. 1-28

국내 공공도서관 프로그램의 내용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ntent analysis of domestic public library programs : focusing on Jeongdok Library : 정독도서관을 중심으로 이수상, 김수빈, 김나은 p. 29-53

공공도서관의 복합문화도서관 이전 건립을 위한 타당성 연구 = A feasibility study on the relocation of public library to multicultural library : focusing on Wando-County Library : 완도군립도서관을 중심으로 박주현, 장우권, 신우진, 김주진, 박현지 p. 55-81

법률정보허브로서 법원도서관의 지식정보공유 기능과 역할 강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legal information landmark, court library, knowledge information sharing, function and role expansion, legal information hub 곽승진, 노영희, 장인호, 강봉숙, 고재민 p. 83-107

국내 서지동향을 반영한 구현형의 전거형 접근점 연계 구조 = A study on the linking structure for authorized access point for manifestation based on the current bibliographic trends in South Korea 박믿음, 이승민 p. 109-132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MIL) 인식과 협력수업 경험 분석 = An analysis on the awareness and cooperative class experience of the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MIL) : targeting the teachers in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 경기도교육청 소속 교원을 대상으로 박주현, 임정훈, 백영선, 김서현 p. 133-157

시각예술자료 아카이빙을 위한 수집정책 연구 = A study on the collection policy for archiving visual arts materials : focusing on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 국립현대미술관을 중심으로 김수진, 김순희 p. 159-187

도서관 지적자유 침해 양상과 대처방안 = Aspects of intellectual freedom restrictions in libraries and countermeasures 김신영 p. 189-217

문헌정보학 분야 연구의 국제적 성과와 격차에 대한 분석 = An analysis of international achievements and inequality in research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조재인 p. 219-242

ISNI 기반 연계·활용 서비스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ways to build ISNI-based linkage and utilization services : focusing o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김주섭, 강봉숙, 김선태 p. 243-266

오픈액세스 전환계약서 분석 연구 = Study on open access transformative agreement 정영임, 안병군 p. 267-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