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최근 학술 생태계의 새로운 이슈 중 하나인 부실 학술지를 두고 판별 기준의 모호성에 대한 논쟁이 불거지고 있다. 이러한 논란은 연구자들에게 부실 학술지의 부실성이 무엇인지에 대해 혼란을 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연구자들이 부실 학술지를 어떻게 인식하고, 또 어떻게 판별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의 대표적인 연구자 커뮤니티인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하이브레인넷, 김박사넷, 건전학술활동지원시스템(SAFE)을 대상으로, 2023년 11월까지 작성된 관련 게시글과 댓글 총 2,484건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주제 분석을 위해 먼저 데이터를 3개의 큰 범주인 학술지, 출판사, 연구자로 구분하였고, 해당 범주에 따라 11가지의 세부 주제 태그로 분류하였다. 이후 세부 주제 태그의 조합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부실학술지 관련 6개의 주요 논쟁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부실 학술지에 대한 연구자들의 혼란과 연구 실적에 대한 논란이다. 둘째, 부실 학술지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연구자들의 견해이다. 셋째, 부실 학술지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연구자들의 견해이다. 넷째, 학술지 수준에 대한 평가 기준과 국내 학술지 수준에 대한 문제 제기이다. 다섯째, OA 확산에 따른 출판 관행의 변화와 이에 따른 문제 제기이다. 여섯째, 학술 생태계의 전반적인 문제에 대한 논의이다. 본 연구는 국내의 연구자들의 부실 학술지에 대한 인식을 정성적 측면에서 고려한 연구로서, 국내의 부실 학술지 논란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current debate in the academic community is on the criteria for predatory journals. Researchers are perplexed about what constitutes a predatory journ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outh Korean researchers discover and evaluate predatory journals. In order to achieve this, we collected 2,484 statements, comprising posts and comments, from Korean researcher communities, namely the Biologic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 (BRIC), Hibrain.net, Phdkim.net, and the Scholarly Ecosystem Against Fake Publication Environment (SAFE). We divided the data into three primary categories—journals, publishers, and researchers—for the topic analysis. For each statement, we assigned 11 in-depth subtopic tags based on these categories. Six main points of contention emerged from the combinations of these sub-topic tags: (1) researchers’ confusion about predatory journals and discussions about research performance; (2)(3) researchers’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of predatory journals; (4) researchers’ evaluation criteria for journal quality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Korean journals; (5) changes in publishing brought about by the introduction of open access (OA) and associated issues; and (6) discussions on broader issues within the academic ecosystem. By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to examine how South Korean researchers view predatory journals, this study aims to advance basic knowledge of the discourse around them in the communities of domestic researcher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국내 문헌정보학 주요 저널의 자아 인용정체성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ego-centered journal citation identiti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김혜진 p. 1-18

영상정보 활용능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video information literacy 나민경, 이지연 p. 19-46

국내 독서 프로그램 분야의 연구 동향과 과제 = Research trends and tasks in the field of reading program in Korea 김판준 p. 47-69

공공도서관의 초등학생 온라인 정보 리터러시 교육모형 개발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onlin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al mode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public libraries 조상은, 오경묵 p. 71-96

국내 연구자 커뮤니티 구성원의 부실 학술지 인식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redatory journals among members of the Korea researcher communities 홍명아, 심원식 p. 97-130

문화시설의 권리자불명 저작물 이용을 위한 ‘상당한 조사’의 절차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ocedures of diligent search for the use of orphan works in cultural institutions 이호신 p. 131-154

전맹 시각장애인의 OTT 서비스를 통한 정보 이용 경험 탐색 = A study on information use experience of total blindness with OTT 윤수빈, 이성신, 이세나 p. 155-183

공공도서관 사서의 일과 삶의 균형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s of librarians’ work-life bala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public libraries : focusing on generation MZ : MZ세대를 중심으로 송현경 p. 185-214

교과교사의 학교도서관 프로그램과 협력수업 경험이 학교도서관 역할과 사서교사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er’s experiences with school library programs and collaborative classes on their perceptions of the roles of school libraries and the expertise of teacher librarians 김현정, 김기영 p. 215-243

CoreTrustSeal 인증 획득을 통한 데이터 리포지토리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연구 = A study to improve the trustworthiness of data repositories by obtaining CoreTrustSeal certification 이혜림, 엄정호, 신영호, 임형준, 한나은 p. 245-268

QR코드에 대한 언론 보도 경향 = An analysis of news media coverage of the QRcode : based on 2008-2023 news big data : 2008-2023년 뉴스 빅데이터 분석 김선정, 이지수 p. 269-294

주요 학문분야 비교를 통한 국내 정보공개 연구동향 분석 = Analyzing domestic research trends on disclosure of information by comparing major academic disciplines 배나윤, 오효정 p. 295-316

중·장년층의 디지털리터러시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gital literacy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and older people 이현아, 장우권 p. 317-351

대학도서관 사서 직업에 대한 경험적 의미와 딜레마 = Empirical meanings and dilemmas of the profession of an academic librarian : applying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 Giorgi의 현상학 방법을 적용하여 이선애 p. 353-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