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생성형 AI 기술이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현재 대학 교양교육의 현장, 그 중에서도 인문교양교육의 영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교육적 변화와 쟁점을 분석하고, 향후 인문교양교육이 추구해야 할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먼저 현재 국내 대학에서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의 인식과 교육현장의 현황에 대해 살펴본다. 3장에서는 생성형 AI 기술이 갖는 의미와 파급효과를 인문-교양학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인문교양교육의 새로운 역할이 무엇이어야 하는지 분석한다. 4장에서는 생성형 AI의 시대에 인문교양교육을 내실화하기 위한 내용과 방법을 구체적인 교과목의 사례를 통해 제시한다. 이 연구를 진행하며 연구진은 AI 시대에는 인간을 탐구하는 인문교양교육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물론 그 방식은 예전과 달라야 한다. 특히 논리적, 비판적, 창의적 사고교육의 역할을 통합적인 방식으로 강화해야 하는데, 그 방법으로 인문고전을 중심으로 하는 텍스트 비판, 분석, 창의적 문제해결 교육의 다변화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또한 AI 시대에 필요한 융합형 인문교양교육의 사례를 살펴보고 인문교양교육이 인문학에만 머무르지 않고 과학, 기술, 그리고 예술의 영역을 넘나드는 진정한 의미의 융합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기초학문 위기와 교양문리대학의 필요성 = The crisis in foundational studies and the necessity of a liberal arts and sciences college(LASC) 원효식, 안현효, 전용숙 p. 11-26

생성형 AI 시대 인문교양교육 활성화를 위한 시론 = A preliminary discussion on revitalizing humanities based general education in the era of generative AI 서민규, 김지영, 최예정, 조혜경 p. 27-42

교양 교과 적합성에 대한 재고 = Rethinking the criteria for liberal education courses 이진희 p. 43-55

인문주의 관점에서 본 고등교육의 핵심체계로서의 시장주의 교육이데올로기 비판 = Criticism of market-centered education ideology : consideration from a humanistic perspective 서정일 p. 59-70

교양교육의 정체성과 내용에 대한 교육수요자의 인식 차이가 교양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 주는 시사점 = Implications for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liberal arts curriculum by the difference in educational consumers' perception of the identity and cont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정지언 p. 71-89

고전읽기 교육의 교육적 성과 검증을 위한 공동 연구 = Collaborative research on the educational outcomes of classical reading education : focused on diagnosing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four Korean universities : 국내 4개 대학의 교육성과 진단을 중심으로 윤승준, 권순구, 서보영, 최윤경, 최인선 p. 91-106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수업효과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lessons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ability in university students 김종숙, 김영우 p. 107-121

토론식 수업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 능력 및 교육경쟁력 강화 = Enhancing activeness and educational competitiveness by extended implementation of discussion-based lectures 박광희 p. 123-134

변혁적 역량의 관점에서 바라본 인공지능 시대의 글쓰기 = Writing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formative competencies 김현정 p. 135-148

소셜벤처 플래닝 수업 사례 연구 = Case study of a social-venture planning course : focusing on characteristics of social problem-solving processes and the effects on entrepreneurial competency : 사회문제 해결 과정의 특징과 기업가정신 역량에 대한 효과를 중심으로 임인숙, 이현옥 p. 149-169

대학의 비이공계열 학생을 위한 교양수학 교과목 ‘수학과 생명과학’ 강의설계 및 운영사례 = The general mathematics course 'mathematics and life sciences' for non-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김수정 p. 171-185

고등교육 종교 교과목의 현황과 과제 = Realities and challenges of religion courses in higher education : focusing on the case of Yonsei University : 연세대학교의 <기독교의이해>를 중심으로 민경식 p. 187-197

대학생의 창의성 인식과 창의적 마인드셋 변화를 통한 창의성 교양수업의 효과성 분석 =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creativity courses o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nd creative mindset changes : an application of integrated research methods : 통합연구방법 적용 유민희 p. 199-212

행정기관 공공언어의 ‘공공성’과 ‘정보성’ 실태 분석 = Analysis of 'publicity' and 'information' in public language of administrative agencies : focusing on the press release of Gyeongsangbuk-do Office of Education and Korea Housing Finance Corporation : 경상북도교육청과 한국주택금융공사 보도자료를 중심으로 배혜진, 김수정 p. 213-233

로더러의 『음악 물리학 및 음악 심리 물리학』의 서사 분석 = A narrative analysis of J.G. Roederer's The Physics and Psychophysics of Music 구자현 p. 235-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