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예비교사의 통합사회 과목 지도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사범대학 교과목 및 교재 개발의 방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교사 전문성의 핵심 구인인 내용교수지식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통합사회 교사 전문성 개념과 구성 요소를 정립하였다. 그리고 통합사회 담당 경험이 있는 현장교사 40명과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통합사회 교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지원 요구를 조사하였다. 이후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통합사회 교사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과목 및 교재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통합사회 교과목 개발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문서 내용을 기반으로 통합사회 과목의 성격과 목표, 단원별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사항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영역별 내용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각 차시별 수업을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수강생들이 내용 요소와 연계될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하거나 수업 자료를 개발하는 기회를 가져야 한다. 넷째, 성취기준에 따른 평가 도구 사례를 파악하고, 타당도와 변별도를 고려하여 평가 문항을 개발하고 검토하는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다섯째, 문화적 배경에 따른 학습자 특성을 이해하고 통합사회 및 관련 과목 간 계열성을 이해하여 학습자의 선행 지식 수준을 파악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여섯째, 다양한 전공의 학생이 포함된 모둠을 구성하고, 모둠원 간 협력을 통해 통합적 관점에 기반한 교수학습방안을 설계하고 실행하게 해야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범대학 교육과정 개선에 시사점을 제공하여 예비교사의 통합사회 교사 전문성 함양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 방안 실행의 토대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지속가능한 마을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교육청의 역할 = The role of the office of education in establishing a sustainable education community : 충남마을교육공동체포럼 구축 과정에 참여한 정책담당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경림, 김정식, 김의태 p. 5-31

진로체험지원센터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 및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 The operational status and developmental direction of career experience programs at support centers 박나실, 곽초롱, 신원규 p. 33-59

학생 선택 특성화 교육과정 운영 분석 및 현장 인식 조사 = Student-selected specialized curriculum operation analysis and field perception survey : focusing on the case of Sejong City's curriculum-focused school : 세종시 교과중점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영희, 윤지현, 윤정현 p. 61-85

공동체 역량 함양을 위한 교원양성기관의 비교과 강좌 개발 및 실행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extracurricular course at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o cultivate community capacity : focusing on Dokdo education : 독도 교육을 중심으로 강경리 p. 87-116

AI 활용 교육의 사회・윤리적 쟁점에 관한 교원의 인식 = Korean teacher's perceptions on the social and ethical im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김위정, 김종우 p. 117-142

교사정서, 교사소진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구조방정식 기반 메타분석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ased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motions, teacher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조한익 p. 143-168

비대면 실시간 교육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non-face-to-face real-time training : the curriculum of company A : A사 교육 과정 중심으로 최민경, 양정호 p. 169-196

법학교육 사례방법의 발달과 주요 특징 = Analysis of the case method in legal education :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 탐색 박상완 p. 197-224

가족센터 상호문화 실천 프로그램 요구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needs of family center intercultural practice programs :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 CQR-M을 중심으로 황해영, 오정미, 김진선, 정경희, 김영순 p. 225-240

교원의 이주민에 대한 수용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attitudes towards immigrants : evidence from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an ethnically diverse region : 이주배경 학생 밀집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박희진, 남궁지영 p. 241-261

대학 비전임교원 관련 연구동향 분석 = Trends related to part-time faculty in higher education :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over the past 20 years (2004~2024) : 최근 20년간(2004년~2024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박미영, 유기웅 p. 263-284

중등 예비교사의 통합사회 교사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과목 및 교재 개발 방향 탐색 = Exploring the directions of courses and textbooks development for fostering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teaching profession of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모경환, 송진웅, 심승희, 최재영, 엄성우, 남정훈, 진선민, 은지용 p. 285-318

예비 체육교사가 지각하는 전공만족,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satisfaction,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pre-service PE teachers 백산아, 김영욱, 정태욱 p. 319-338

영화 기반의 교양영어 수업이 TOEIC 듣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utilizing movies in an English class on improving TOEIC listening skills : focusing on low proficiency learners : 하위권 학습자를 중심으로 임남실 p. 339-359

포스트팬데믹 시대의 대학 교양체육 이슈와 대처방안 = Post-pandemic issues and countermeasures for university general physical education 김승환, 천성민, 김민규 p. 361-374

대학의 비교과 프로그램 교육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for education satisfaction in university co-curricular programs 홍주영, 서일보 p. 375-396

대학생의 세계시민교육을 통한 세계시민성 형성에 관한 연구 = The formation of global citizenship through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박선영 p. 397-415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학문 목적 유학생의 미디어에 대한 인식변화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media literacy education on media perceptional change of international students for academic purposes : S 대학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양지선 p. 417-434

고등학교 야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귀인유형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attribution on resilience in baseball players 김학범, 김병준 p. 435-450

직업계고의 산업안전보건교육이 학생의 산업안전보건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on the formation of student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wareness 정이화, 윤노아 p. 451-475

청소년 정치참여 활성화 방안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exploring strategies for the activation of youth political participation : 청소년 정치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박지숙, 최정원, 이인영 p. 477-500

또래의 진로발달이 중학생의 학업 및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eers' career development on students' academic and career development 문희원, 정광호, 문찬주 p. 501-526

중학생의 의사소통 역량과 공동체 역량 군집 =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community competency clusters and their predictors and outcomes amo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 군집의 예측 및 결과 변인 박소영, 이병윤 p. 527-549

기초학력으로서의 디지털 문해력 구인 및 성취기준 개발 = Development of domains and achievement standards for digital literacy as a basic academic ability 이대식, 홍인기, 김수희, 신재현 p. 551-575

학령 후기 사회적 위축 아동이 지각한 학교환경, 또래관계, 부모관계 및 안녕감 = Perceived school environment, peer relations, and parent relations by socially-withdrawn Korean children in late childhood : exploring differences between shy and regulated subtypes : 수줍음형과 절제형의 차이를 중심으로 이은경, 이동형 p. 577-600

유아교사들의 유아세계시민교육 인식과 실천 방안 탐색 =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early childhoo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나예원, 김고은 p. 601-627

영어유치원 선택요인 연구 = Factors influencing the choice of English-language kindergartens : a text network analysis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정옥경, 고온조, 김경근 p. 629-657

한국어 읽기 평가에서 자동 문항 생성의 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feasibility of automated item generation for Korean language assessment 이하늘, 이용상 p. 659-686

소리 내어 읽기 녹음 과제의 수업 적용 연구 = Utilizing read-aloud recording tasks in classroom instruction for beginner Korean-language learners :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김미숙 p. 687-706

학부모 다문화교육 연수를 위한 동영상 콘텐츠 개발 연구 = Video content development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arents : case introduction videos utilizing virtual humans : 가상인간을 활용한 사례 소개 동영상 교육자료를 중심으로 권미경, 김성미 p. 707-731

어머니의 출신국가와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포부 수준 간의 관계 분석 =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ountry of origin and educational aspirations among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김예슬, 이경양, 전하람 p. 733-761

‘계획된 우연’ 연구 동향 분석 = Trends analysis of planned happenstance 전종희 p. 763-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