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지역주도 교육혁신 지원 사업이나 교육발전특구 등을 통해 지역인재들이 양질의 교육을 받고 지역에 정주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대부분의 시·도교육청은 미래학교의 모델을 발굴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진행 중이다. 특히 세종시는 혁신자치학교의 미래학교 전환을 앞두고 있으며, 세종미래학교 모델 발굴에 집중하고 있다. 이 연구는 세종혁신자치학교의 성과와 과제에 대하여 탐색함으로써, 혁신자치학교의 우수한 교육 활동을 세종미래학교에 전가하고, 산재된 과제를 해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혁신자치학교 이해관계자인 학교장, 혁신부장, 교원, 교육청의 교육전문직원 등 총 1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자치학교는 혁신학교와 다르게 학교자치를 내실화하고 있었으며, 학교 구성원들은 혁신에 대한 공감과 이해도가 더욱 높았다. 둘째, 혁신자치학교에서는 학교 구성원의 학교 참여 기회가 비교적 많은 편이며, 구성원 간 소통과 협력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셋째, 지역사회와 연계된 사업이 비교적 원활하게 추진되고 있었으며, 지자체나 유관기관과의 협조를 통해 외부에서도 교육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넷째, 교육청으로부터 혁신자치학교의 지원에 대한 학교 구성원의 요구가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일반학교의 학교자치 기틀 확립, 학교장 리더십 연수 체계 강화, 교육발전특구 사업과의 연계, 단위학교 교육디자인 등을 제언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상황주의 학습이론을 통해 살펴본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 탐색 = A study on learner-centered approaches from the perspective of situated learning theory : focusing on IB DP's core curriculum : IB DP 중핵교육과정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송슬기 p. 199-224

비교과 프로그램 평가지표 개발 = Developing evaluation indicators for extracurricular programs : a case study at university A : A대학 사례 이경진, 최나영 p. 45-76

지방교육행정 정보화 조직에서 동기부여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motivation on job performance in local education administration informationization organizations : the mediating effect of collaborative culture : 협력문화의 매개효과 오혜근, Wang, Wenhui, 이다현, 나민주 p. 167-197

대학 생활의 어려움 유형 분류 및 대학성과 차이 분석 = The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college life : a latent profile analysis 김시현 p. 111-139

중등 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지각이 교직헌신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empowerment on job commitment and satisfaction 박성기, 이안수, 최승우 p. 225-250

청소년의 생애목표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dolescents' life goals on stres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sense of community : 공동체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송이은, 안소영, 이승주 p. 277-304

중재반응모델을 적용한 읽기 기초학습기능 중재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The effectiveness of the basic academic reading skills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a response to intervention model 김동일, 김희은, 이연재 p. 251-275

혁신자치학교의 성과와 과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erformance and challenges of autonomous innovation schools : focusing on Sejong Autonomous Innovation School : 세종혁신자치학교를 중심으로 임유진, 박정우 p. 333-365

대학 평생교육체제의 키워드 간 의미연결망 분석 = A keyword network analysis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systems : focusing on the promising practice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future education (LiFE) : 평생교육체제(LiFE) 지원사업 우수사례를 중심으로 나은창, 박상우, 김가연 p. 141-165

유아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 교사의 변화 탐색 = Exploring changes in an early childhood teacher during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on early childhoo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focusing on the use of picture books : 그림책 활용을 중심으로 이상옥, 손은령 p. 305-332

고경력 초등교사의 교직생활 특성 = Characteristics of highly experienced elementary teachers’ professional life 이민정, 박수정 p. 77-110

루소와 여성교육 = Rousseau and women’s education : Sophie in Émile or Julie in New Heloise : 『에밀』의 소피 혹은 『신 엘로이즈』의 쥘리 김재영 p. 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