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성인문해교육 정책의 주제어 분석을 통해 연결된 세 부문 간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교육부가 제공하는 성인문해교육 지원 사업 공고 및 기본계획 문서와 학술지 초록, 언론보도를 대상으로 키워드 빈도분석 및 토픽모델링 분석을 진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문해교육 정책과 관련하여 각 시기에 따라 정책문서, 학술지 초록, 언론보도에 나타난 키워드 빈도와 토픽에 차이가 있다. 둘째, 성인문해교육 정책과 연구는 제1기와 제2기에 걸쳐 서로 고유한 키워드를 바탕으로 상호 간 차별화된 영역을 이루고 있다. 셋째, 정책문서의 키워드와 토픽은 언론보도에서 도출된 것과 대응되며, 주로 '정책 성과' 차원의 키워드와 토픽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문해교육에 정책 측면에서 인식 고취와 필요성 제고를 위한 정책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연구 차원의 키워드 및 토픽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문해교육 대상의 확장에 대한 논의와 실천적 노력이 꾸준히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정책 및 연구 차원에서 성인문해교육 용어의 확장과 개선이 요구되어 진다. 넷째, 성인문해교육 연구 측면에서 해당 정책의 내실화를 도모할 수 있는 기초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과 연구 간 긴밀한 연계가 요구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경북미래교육지구 정책 분석 = Policy analysis of Gyeongbuk Future Education District 김형규, 이기용 p. 1-25
교감의 감성리더십, 회복탄력성, 심리적 소진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ice-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burnout 강대술, 김희규 p. 27-52
교육정책 집행과정에서의 교사 학습에 관한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eachers’ learning in the education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최지원 p. 53-80
대학 진학 이동 유형에 따른 4년제 대졸자의 첫 직장 성과 분석 = Analysis of the first job outcomes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according to the types of moving to colleges 주정훈, 김병주 p. 81-106
조직 다양성 관점에서 살펴본 대학 보직교수의 인구학적 특성 및 학문적 배경 =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backgrounds of administrators in Korean univers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diversity 권은비, 배상훈, 강나연, 이예원 p. 107-131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교육감 당선자 선거 공약 분석 = Analysis on election pledges of superintendents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 the case of 2022 superintendent election : 2022년 교육감 선거를 중심으로 유승민 p. 133-161
교사리더십 실행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eacher leadership practice experience : focusing on teacher leader's leadership actions : 교사리더의 리더십 행위를 중심으로 김진원 p. 163-192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의 확장모형을 적용한 초등돌봄교실정책 분석 = A study on policy formation process of elementary aftercare classroom policy by using the extended Kingdon's policy stream framework 김영빈, 이재덕 p. 193-218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성인문해교육 정책 관련 이슈 분석 = Analyzing issues on adult literacy education policy using text mining : a comparative analysis of policy, academic journal, and press : 정책, 학술지, 언론보도 간 차이를 중심으로 김수지, 송민희, 노한나, 정제영 p. 219-249

교직원 회의 활성화 정책 실행 분석 = Analysis of the enactment of policy to revitalize teachers’ council meetings 박승종, 이서연, 전유림, 이승연 p. 251-281
교사의 사회적 자본이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teachers' social capital on job satisfaction : 경기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강재원, 이수정 p. 283-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