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목적 본 연구는 태권도 위력격파 심판 숙련성에 따른 시각탐색과 판단의 정확성 차이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5년 이상의 한마당 2급 숙련 심판과 심판 경험이 없는 3급 초보 심판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아이트래커를 착용하여 주먹과 손날, 발 위력격파의 영상을 보고 벌칙 상황을 판정하였으며, 숙련성에 따른 판정의 정확성, 시각탐색(시선고정빈도, 시선고정시간비율, 시선고정시간)전략과 시각초점영역, 지각된 시각초점영역을 측정하고 숙련성에 따른 비교분석을 위해 맨 휘트니 유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숙련 심판은 초보 심판에 비해 판정 정확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숙련 심판은 초보 심판에 비해 높은 시선고정빈도수와 시선고정시간비율, 시선고정시간을 보이는 시각탐색을 나타냈다. 셋째, 숙련성에 따른 시각초점영역과 실제 지각된 시각초점영역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숙련된 태권도 위력격파 심판일수록 더 객관적이고 정확한 판정과 효과적인 대회진행을 위해 짧은 시선 행동으로 효율적인 시각탐색 행동전략을 보였으며, 위력격파 시 정확하고 빠른 의사결정을 위해 숙련 심판은 격파 부위에 초보 심판은 격파물에 주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폐쇄운동기술인 위력격파의 특성과 경기규칙에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태권도 위력격파 심판에 적용한다면 심판의 교육 프로그램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연관성 규칙을 적용한 태권도 선수들의 코트 위치별 득점 패턴 분석 = Analyzing scoring patterns of taekwondo players by court position using association rules 진미나, 윤정현, 이창진 p. 91-99

세계태권도 한마당대회의 이벤트체험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event experience of World Taekwondo Hanmadang Competition on behavioral intentions : focusing on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image and perceived value : 이미지 및 지각된 가치의 직렬다중매개를 중심으로 오금과, 조성균 p. 80-90

해외 태권도 수련자의 태권도 수련 효과에 대한 인식과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 = Overseas taekwondo practitioners' awareness of the effects of taekwondo training and interest in Korean culture 남상석, 이미연, 박지현, 김정우, 김나혜, 박종범, 홍성걸 p. 66-78

Gerth & Mills의 제도론에서 바라본 기술격파 단체전의 제도적 방향성 모색 = Exploring the institutional direction of the technical breaking team competition from Gerth & Mills' institutional theory 전광혁, 이승민 p. 55-65

포토보이스 방법을 활용한 태권도 중년 여성 품새 국가대표 선수의 삶과 경험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life and experiences of middle-aged female taekwondo Poomsae national team players using the photovoice method 이정학, 이해진, 김현아, 김민준 p. 43-54

원소스멀티유즈 개념을 적용한 태권도 문화의 확장성 탐색 = Exploring the expandability of taekwondo culture by applying the one-source multiuse[실은 multi]-use 이미연 p. 33-42

중·고등학교 태권도선수의 라이프스킬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life skills on resilience for youth taekwondo athletes 진형호, 임태희 p. 21-31

태권도 위력격파 심판 숙련성에 따른 시각탐색과 판단 정확성 차이 = Differences of visual search and judgment accuracy on the referees expertise in taekwondo power-breaking 이석용, 박경환, 유현상, 한동욱 p. 11-20

태권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대한 인식 조사 = An analysis on perception about taekwondo registration as a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김영수, 김태훈 p.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