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논문은 블랙 코미디로 〈변강쇠가〉를 해석하고자 했다. 지금까지 〈변강쇠가〉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는 ‘유랑민’이나 ‘향촌 사회’와 같은 계층 갈등의 맥락에서, 또는 여성주의와 같은 이념의 층위에서 〈변강쇠가〉를 바라보는 관점이 연구사의 주류를 차지했다. 그러나 본고는 ‘이 모든 사설이 다 웃자고 한 일’이라는 박동진본의 마지막 문장에 주목하여, ‘웃음’을 핵심 키워드로 삼고 블랙 코미디라는 장르 개념으로 〈변강쇠가〉를 읽고자 했다. 서구 문학에서 나타난 블랙 유머의 양상을 총괄적으로 살핀 패트릭 오닐은 블랙 유머의 표현 방식을 풍자, 아이러니, 그로테스크, 부조리, 그리고 패러디의 다섯 가지로 정리했다. 본고는 패트릭 오닐의 정리를 참고하여, 그로테스크, 부조리, 아이러니, 패러디, 풍자의 다섯 가지 키워드로 〈변강쇠가〉의 블랙 코미디적 특징을 읽어냈다. 그 결과 변강쇠가 장승 죽음 하는 장면, 뎁득이가 시체를 갈이질 하는 장면, 강쇠와 옹녀의 인물 형상, 뎁득이의 인물 형상, 장승의 모습 등에 대해서 선행연구와는 작지만 차별화된 해석이 가능해졌다.
This paper seeks to interpret Byeongangsoi-ga as a black comedy. Previous studies on Byeongangsoi-ga have been dominated by perspectives that view it in the context of class conflicts such as ‘vagabonds’ or ‘village society’ or in the context of ideologies such as feminism. However, this paper focuses on the last sentence of Park Dong-jin’s editorial, ‘All these words were done for a laugh’, and attempts to read Byeongangsoi-ga with the genre concept of black comedy, with ‘laugh’ as the keyword. Patrick O’Neill, in his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black humor in Western literature, summarizes the five modes of expression of black humor: satire, irony, grotesque, absurdity, and parody. This paper uses Patrick O’Neill’s theorem to read the black comedic features of Byeongangsoi-ga through the five keywords of grotesque, absurdity, irony, parody, and satir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e scene of Byeongangsoi’s death, the scene of DepDeuk’s grinding of the corpse, the characterization of Byeongangsoi and Ongnyeo, the characterization of DepDeuk, and the appearance of Jangseung differently from previous studies.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안중근을 노래하다 = Singing about Ahn Jung-geun : a study of Korean poetry related to Ahn Jung-geun : 안중근 관련 한국 시가 연구 | 박병훈 | p. 5-36 |
|
|
옥소 권섭의 기행가사 <영삼별곡>(寧三別曲)의 원전 비평 = Textual criticism of “Yeongsambyeolgok”, written by Kwon Seop | 신현웅 | p. 37-62 |
|
|
블랙 코미디로 읽는 <변강쇠가> = Reading Byeongangsoi-ga as a black comedy | 김동욱 | p. 63-88 |
|
|
<심청전>의 현대적 변용에 관한 비판적 검토 =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 of Simcheongjeon | 최어진 | p. 89-116 |
|
|
김종직의 초기시에 담긴 ‘애민의식’ 재론 = Re-examine Kim Jong-Jik’s early poem of ‘people’s love consciousness’ : as part of the self-consciousness as a scholar(士意識) : ‘사의식(士意識)’의 일환으로서 | 구슬아 | p. 117-151 |
|
|
채팽윤(蔡彭胤) 문집의 이본 검토 = On the different version of Chae, Paengyun’s literary colllection : especially on manuscript PyeChu, the abandoned broom : 필사본 『폐추』(弊帚)를 중심으로 | 백승호 | p. 153-179 |
|
|
금오신화와 세속적 욕망 담론 = Geumo Shinwha (金鰲新話) and secular desires | 임주탁, 명수현, 최은희, 최일범 | p. 181-223 |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