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패널에 새롭게 포함된 스마트공장 관련 정보들을 활용하여 스마트공장이 노동수요에 미칠 영향을 추정했다. 스마트공장의 도입은 전반적으로 생산직의 업무량을 감소시키며, 스마트공장 수준이 고도화 될 수록 업무량 감소 정도는 더욱 커진다. 특히 동일제품을 반복 생산하는 공정에서 두드러진다. 반대로 스마트공장이 표방하는 지능화 및 연결성과 관련된 관리직, 기술전문직 등의 직종이나, 다양한 제품의 혼류 생산을 구현하는 과정의 생산직의 경우 업무량이 늘어나는 것이 관찰된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와 전반적으로 부합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최종 노동수요가 아닌 스마트공장이 표준적인 업무량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추정했다는 데 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성향점수 분위에 따른 이질적 정책효과 분석 = A study on heterogeneous policy effects based on propensity score quartiles : 소재·부품·장비 R&D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신경희, 이희상 | p. 1-24 |
|
|
디지털 헬스 분야 지식생산기관 식별 정확도 제고 방안 연구 = Research on improving the identification accuracy of knowledge production institutions in the digital health field | 최성윤, 문성욱 | p. 1-38 | ||
스마트공장과 노동수요 = Smart factory and labor demand : workload changes by smartification level and occupation : 스마트공장 도입 단계에 따른 직종별 업무량의 변화 | 이창근, 김미경 | p. 1-24 |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