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병원에서 근무 중인 종사자들의 원예치료 인식을 조사하고 직무 스트레스 관리의 목적으로 원예치료 프로그램 개발과 발전에 적용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 서울소재의 한 병원의 종사자 197명으로 의료기사직, 기술기능직, 행정직, 의사직 및 간호직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항목은 직무 스트레스 척도, 원예치료 인식, 일반적인 사항, 인구통계학적 사항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소득(p=0.013)과학력(p=0.024)이 높고 의사직(p<0.001)에서 원예치료 인식이 낮았다. 또한, 하루 평균 근무시간이 많을 때 원예치료 인식이 낮았다(p=0.031). 10점 척도로 진행한 스트레스 평가척도를 상, 중, 하 3개의 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점수가 높은 군에서 원예치료 인식이 낮았고(p=0.022) 원예치료를 경험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원예치료 인식이 높다는 것(p=0.006)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스트레스의 하위요소들간 원예치료 인식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원예치료 인식은 직무 스트레스(r=-0.202, p<0.01)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원예치료 경험유무가 원예치료 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를 통해 병원 종사자들이 원예치료에 쉽게 참여해보게 함으로써 원예치료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환하고 스스로 직무 스트레스 관리 방법 중 하나로 적용하기를 바란다. 병원 종사자들의 실제적인 경험으로 이어진다면 개인의 직무 스트레스를 줄이는 효과와 더불어 이직률을 줄여 병원 운영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Changes in agronomic traits of garlic (Allium sativum L.) over generations after the cultivation of meristem culture-induced bulbils Binod Prasad Luitel, JiWon Han, Soohyun Kang, Min-Seon Choi p. 1-10

Analysis of main components of Rehmannia glutinosa and Saururus chinensis according to extraction method Jong Hyuk Kim, Ju Hyun Ha, Il Rae Rho p. 11-19

Athelia rolfsii 에 의한 팥 흰비단병 국내 최초 보고 = First report of southern blight caused by Athelia rolfsii on small red bean in Korea 최옥희, 노하은, 이예영, 강동완, 한인영, 김진우 p. 21-27

병원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원예치료에 대한 인식 = Perception of horticultural therapy for job stress among various hospital workers 백지은, 구강모 p. 29-36

지중점적시스템을 이용한 관비처리가 감자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n potato growth and productivity by subsurface drip fertiligation 오승가, 문석주, 노일래, 조영손 p. 37-46

Antibacterial activity of Korean resource plant extracts against Helicobacter pylori and inhibitory effect of IL-8 secretion in gastric epithelial cells Seong Hyeon Yong, Do Hyeon Kim, Kwan Been Park, Seung A Cha, Ji Hyun Lee, Seon A Kim, Jae Kyung Yang, Seung Chul Baik, Myung Suk Choi p. 47-55

경남지역 대나무 숲의 입목밀도 및 고사량 추정 = Estimation of standing tree density and mortality for bamboo forests in Gyeongnam District 정재엽, 주정운, 배은지, 노혜정, 김재엽, 박천희, 김우용, 손영모 p. 57-62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이용한 수목 뿌리의 토양보강 효과 연구동향 비교 = A comparison of research trends on soil reinforcement by tree roots using bibliometric analysis : focused on international and domestic research : 국제와 국내 연구를 대상으로 김기대, 김석우 p. 63-73

독도 식생의 경시적 변화 = The temporal changes of vegetation in Dokdo, Republic of Korea 이아림, 이승재, 신동빈, 손동석, 오승환 p. 75-86

삼척 산불지역의 식생구조와 복원 유형별 현황 = A vegetation structure and status of restoration types on forest fire area in Samcheok, Korea 이명훈, 안수정, 정유경, 성정원 p. 87-99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에 식재된 편백의 생장에 토양개량제 처리의 영향 = Influence of soil amendment applications on the growth and nutrient dynamics of a chamaecyparis obtusa endlicher plantation established in a pine wilt disease-disturbed forest 백경원, 김춘식 p. 101-110

Regulation of Bcl-2 family protein changes by chlorogenic acid treatment in focal cerebral ischemia of rats Ju Bin Kang, Myeong Ok Kim, Phil Ok Koh p. 111-121

축산시설 내 무창기공형 집열기 냉방효과 구현을 위한 배기 유량 변화에 따른 열성능 평가 = Evaluation of thermal performance through the change of exhaust airflow rate for cooling effect of an unglazed transpired collector in livestock facility 문병은, 이건호, 바삭 쿠마르 자얀타, 엘란체쟌 아룰모지, 뎁 찬드라 니바스, 서은완, 김혁주, 김현태 p. 123-138

콩 재배 포장의 생육환경 진단을 위한 토양 수분함량 예측 부분최소제곱회귀(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모델 개발 = Prediction of soil moisture content for growth environment diagnosis of soybean cultivation field using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PLSR) model 김보경, 김민지, 박수환, 이보영, 이홍구, 상완규, 백재경, 모창연 p. 139-148

농업인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보급 활성화 결정 요인 = Determinants of promoting renewable energy supply for farmers : focused on Honam region :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소윤경, 한재환 p. 149-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