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배경: 본 연구는 검사법 평가에 대한 국내 현황을 조사하는 연구이다.
방법: 국내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설문의 내용은 먼저 기관의 기본 정보를 조사하였고, 검사법 평가에 대해서는 정밀도, 직선성, 방법 간 비교, 기타 등 총 4개 파트 3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결과: 총 60개 기관에서 설문에 응답하였다. 검사법 평가에 사용하는 통계 프로그램은 기관별, 항목별로 다양하였다. 정밀도에 대해서는 5×5 프로토콜을 주로 사용하였고, 평가 기준은 제조사 제시 변이계수가 가장 많았다. 직선성에 대해서는 회수율을 바탕으로 평가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제조사에서 제시하는 희석배수를 별도의 검정 없이 사용하는 기관이 절반 이상이었다. 방법 간 비교는 주로 40개 검체로 시행하여 최소제곱 선형회귀 혹은 Passing-Bablok 회귀분석으로 분석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평행 검사의 판정 기준으로는 임계 차이를 이용하는 경우가 적었다. 측정능, 잔효, 참고구간, 정성검사 성능평가에 있어서도 기관마다 상이하였다.
결론: 각 기관마다 검사법 평가에 대한 지침과 시행 현황이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검사법 평가에 대한 국내 현황을 반영하는 최초의 연구이다. 후속 연구를 통해 검사법 평가에 대한 표준화된 국내 지침을 제공하고, 지속적인 교육 및 관리를 통해 검사실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Validation and verification of measurement methods in clinical chemistry | 미소장 |
2 | How to assess the quality of your analytical method? | 미소장 |
3 | Validation of quantitative analytical procedures in laboratory medicine/Validierung von quantitativen Analysenverfahren in der Laboratoriumsmedizin | 미소장 |
4 | A manifesto for the future of laboratory medicine professionals | 미소장 |
5 | A survey of clinical laboratory instrument verification in the UK and New Zealand | 미소장 |
6 | Key questions about the future of laboratory medicine in the next decade of the 21st century: A report from the IFCC-Emerging Technologies Division | 미소장 |
7 | Validation and verification of examination procedures in medical laboratories: opinion of the EFLM Working Group Accreditation and ISO/CEN standards (WG-A/ISO) on dealing with ISO 15189:2012 demands for method verification and validation | 미소장 |
8 | Total pathway to method validation | 미소장 |
9 | Clinics in Laboratory Medicine | 미소장 |
10 | Verification policies in Croatian medical biochemistry laboratories | 미소장 |
11 | Medical laboratories. Requirements for quality and competence | 미소장 |
12 | Method evaluation in the clinical laboratory | 미소장 |
13 | International Vocabulary of Metrology – Basic and general concepts and associated terms (VIM), 3rd edition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