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기존 연구들은 사회적 배제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엇갈린 결과를 보고했다. 일부 연구들은 사회적 배제가 부정정서를 유발하고 친사회적 행동을 감소시킨다고 제안했으나 다른 연구들은 친사회적 동기와 행동의 증가를 보고했다. 이러한 상반된 결과는 친사회적 행동이 항상 관계회복과 사회적 재연결(social reconnection)로 이어지지는 않기 때문일 것이다. 친사회적 행동은 소속감 획득의 주요 수단이지만 배제상태에서 관계회복을 기대할 수 없다면 친사회적 행동은 불필요할 것이다. 배제 혹은 소속의 이분법적 상태만을 규정한 기존 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재연결 가능성이 존재하는 배제 위기 상황에서 친사회적 행동을 검증했다. 아울러 집단에 대한 기여 가능성을 보여주는 개인의 능력을 추가적인 독립변인으로 사용했다. 사회적 배제 위기와 참가자의 능력을 조작하기 위해 ‘조합원 되기’라는 시뮬레이션 게임을 실시했다. 참가자들은 인성검사로 지칭한 설문에 응답한 결과를 참고하여 상호 예비투표를 실시했고, 득표수로 배제 위기를 조작했다. 이후 조합원 능력검사로 지칭한 지각검사 결과를 공개하여 능력수준을 조작했다. 실험 1, 2에서 모두 배제 위기가 높고 능력이 낮은 참가자들이 더 많은 기부금을약정하는 친사회적 행동을 보였다. 이 결과들은 사회적 배제 위기 상황에서 재연결 가능성이 친사회적 행동을 설명하는 핵심 변인임을 보여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시각 정보 제시 여부에 따른 촉각 자극에 대한 정서 반응 비교 = Comparison between affective responses to tactile stimuli based on the presence of visual information presentation 김지수, 박채리, 김종완 p. 15-24

음성으로 제시되는 감정 맥락이 서열 위치 효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verbal emotional context on the serial position effect 서진선, 오은미, 한광희 p. 3-14

조합원 되기 = Union affiliation : social exclusion risk and prosocial behavior : 사회적 배제 위기와 친사회적 행동 조준형, 이형철, 김신우 p. 25-36

반려동물 생애 동안 반려문화를 경험하는 반려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mpanion people experiencing companion culture during their pet’s life 박지언, 고정민 p. 37-48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창의성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creativity in youth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frequency of cultur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cultural activity experience : 문화활동참여 빈도와 문화예술활동 경험 매개효과 중심으로 김수정 p. 49-58

Effects of mindset and achievement-comparison style on subjective happiness Guk-Hee Lee, Hyesun Shim p. 59-68

AI 학습 로봇의 친밀도 영향요인 분석 = Analyzing the affinity influence of AI learning robots 윤무현, 주다영 p. 69-80

경피신경전기자극기를 이용한 비지각적 감각자극 강도가 뇌혈류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non-perceptual sensory stimulation intensity using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on cerebral blood flow 정주연, 강창기 p. 81-90

(The) relationship between AI opportunity perception and job insecurity :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s hope and the moderating role of tenure Tung Nguyen Son Le, Sang Woo Park, Young Woo Sohn p. 91-104

휴식시 뇌파 활성 분석을 통한 거북목 자세의 불편함 및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Effect on discomfort and attention through analysis of resting-state brain wave activity in forward head posture 정주연, 강창기 p. 105-112

고 사회 불안 성인의 위협 자극에 대한 주의 및 기억 편향 = Attention and memory bias to threatened stimuli in individuals with high social anxiety 박진아, 김소연 p. 113-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