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웹툰 제작 과정에서의 인공지능 기술 활용 방안 연구 = Study on the util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webtoon production 김지은, 오나예, 박진완 p. 1399-1409
메타버스를 활용한 공학계열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 Case study of engineering career education development using metaverse 황윤자, 도현미 p. 1411-1420
중국 숏폼 플랫폼 중 숏폼 애니메이션의 서사적 특징 연구 = A study on the narrative features of short-form animation in Chinese short-form platforms : focusing on TikTok : 틱톡(TikTok)을 중심으로 라영, 한창완 p. 1421-1430
온라인 소통 체계 확립 = Metaverse platform specialized in discussion and debate functions in online communication systems : 토론과 토의 기능이 특화된 메타버스 플랫폼 설계 김민수, 변재현, 우탁 p. 1431-1442
‘전문 지능 보조 서비스(IEA)’와 작업 지향적 규칙 기반 챗봇의 서비스 디자인 중심 비교분석 연구 = Service design-focused comparative analysis of intelligent expert assistant (IEA) and task-oriented rule-based chatbot 김희석, 설상훈 p. 1443-1452
발달장애인의 직무훈련을 위한 VR 기능성 게임에 관한 연구 = Virtual reality serious games for vocational training in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focus on road to wheel master : Road to Wheel Master 중심으로 하주영, 박진완 p. 1453-1463
트랜스미디어 시대 증강현실 그림책의 서사경험 강화를 위한 증강현실 요소에 관한 연구 = Augmented reality elements for strengthening narrative experiences of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s in the transmedia era 이지혜 p. 1465-1476
OTT 구독 서비스 이용자와 비이용자의 디지털 정보격차 연구 = Digital divide between over-the-top subscription service users and non-users 정다희 p. 1477-1486
발달장애인 대상 가상현실 프로그램 활용 방안 제안 = Suggestions for programs using virtual reality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applying empowerment evaluation : 임파워먼트 평가의 적용 손다진, 김용득 p. 1487-1495
6자유도 기술을 활용한 유아의 3D 입체영상 인식과 지각에 관한 연구 = Preschool children’s recognition and perception of 3D stereoscopic videos using 6 degrees of freedom technology 방미향 p. 1497-1506
Personal, social, and situational factors affecting donation intention on donation-based crowd-funding platform = 개인적, 사회적, 상황적 요인이 기부형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에서의 기부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을 중심으로 :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Namhyun Um p. 1507-1515
로봇활용 댄스 교육 콘텐츠 개발 및 적용 = Robotic dance education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박인실, 이시훈 p. 1517-1523
UAV 영상 데이터 기반의 객체인식 연구동향 분석 = Trend analysis of academic research on object detection based on UAV data 김도영, 정희건 p. 1525-1534
홀로렌즈를 활용한 응급시뮬레이션의 구조화된 사전 브리핑 교육 콘텐츠 개발 및 적용 = Structured pre-briefing in emergency simulations with HoloLens : development and evaluation 김경진 p. 1535-1543
첨단기술과 메타버스의 성공요인에 대한 연구 = Study on cutting-edge technology and metaverse success factors 이동규, 강욱 p. 1545-1555
디지털 시대의 사회적 지지 = Artificial-intelligence-based mood regulation : digital encouragement in the social media era :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기분 조절 전략 마련을 위한 디지털 응원 메시지 탐색 이하나, 안순태, 이유진 p. 1557-1570
코스페이시스를 활용한 흥미유발형 프로그래밍 교육 = Interest-inducing programming education using CoSpaces 지동춘, 이수원 p. 1571-1579
블록체인 기반 클라우드 데이터의 안전한 저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ecure storage of cloud data based on blockchain 단관, 손이심, 고금명, 정회경 p. 1581-1588
AI 기반 영상 콘텐츠 저작도구의 유형 및 동향 = Types and trends i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video content authoring tools 이세희, 이진 p. 1589-1600
생성형 AI 기반 교수·학습자료 추천 기능 향상을 위한 기법 제안 =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generative AI-based educational material recommendation functions : focusing on query-based prompt engineering : 질의형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중심으로 강민수, 전대일 p. 1601-1609
우리나라 노인들의 사회적 로봇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Factors influencing Korean seniors’ intention to use social robots 김영미, 김성철 p. 1611-1619
Consortium blockchain model for decentralized of healthcare information = 의료 정보 탈중앙화를 위한 컨소시엄 블록체인 모델 Chai Ting, Seung-Soo Shin p. 1621-1630
임무공학 방법론을 활용한 미래 소부대 지휘통제체계의 임무 분석에 관한 연구 = Mission analysis of future platoon-level command and control systems using mission engineering 최근하, 이상승, 이형근, 백재우, 문호원 p. 1631-1639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프라이버시 염려가 전자상거래 이용 경험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digital literacy capability and privacy concern on e-commerce usage experience : a comparison before and after COVID-19 : 코로나19 발생 전·후 비교를 중심으로 최재서, 최창욱, 양사범, 김정환 p. 1641-1654
인공지능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의 사용경험 향상을 위한 설명 시각화 방안 컨셉 제안 = Suggestion of explaining information visualization for improving user experience of AI healthcare services 노은수, 최정민 p. 1655-16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