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채색문화유산은 종이, 견, 나무, 흙, 회 등 다양한 재료를 바탕재로 사용하여 그 위에 먹 등으로 밑선을 그리고 여러 가지 색료를 이용하여 선이나 색채를 표현한 것이다. 먹선은 본래의 도상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모사와 보존처리 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적외선 촬영을 이용한 먹선 분석이 광범위하게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채색문화유산의 바탕층 재료에 따른 적외선 촬영법을 사용한 밑선의 검출 영향을 연구하였다. 확인에는 적외선 촬영법에 사용되는 적외선 카메라와 900~1700nm영역을 검출할 수 있는 초분광 카메라 2종의 검출기기를 이용하였다. 밑선 검출을 위해 지류(닥지, 쪽/닥지), 직물(견, 견/연백), 목재(뇌록/목재), 토벽(뇌록/토벽), 회벽 7종의 바탕층 위에 먹으로 ‘檢’을 표기하고 진사, 석황, 석록, 석청, 연백, 연단 6종의 상부 채색층을 구성하였다. 시료 제작 후 적외선 촬영법을 이용하여 밑선을 검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지류와 직물 바탕재의 경우 먹선 검출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미미하였으며, 지류에 쪽을 염색한 경우와 견에 연백으로 배채한 경우에도 큰 차이점이 확인되지 않았다. 단, 목재, 토벽, 회벽의 경우 먹선 검출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뇌록을 가칠로 적용한 목재와 토벽의 경우 6종의 상부 채색 안료에 대하여 모두 먹선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회벽의 경우에는 석록을 제외한 모든 상부 채색 안료에서 먹선 검출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바탕층의 재료에 따라 먹선의 검출 효율에 미치는 영향이 확인됨에 따라 채색문화유산 조사 계획수립 및 결과 해석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대 제철기술 복원실험 조업방식에 대한 재검토 = Reexamination of ancient ironmaking technology restoration experiment operating methods : 국립중원문화유산연구소 1~8차 복원실험을 중심으로 최영민, 정경화 p. 6-25

한반도 비무장지대 문화유산의 실태조사 현황과 성과 고찰 = A study on the status and performance of cultural heritage in the demilitarized zone on the Korean Peninsula 황보경 p. 28-50

근대기 금어(金魚) 석하시찬(石霞施讚)의 불상 연구 = A study on the Buddhist sculptures of modern Buddhist artist SeokhaSichan 이주민 p. 52-78

경복궁 자경전(慈慶殿) 꽃담의 내력과 도상(圖像) 구성에 관한 재고 = A study on the history and iconological composition of Jagyeongjeon Hall's flowered wall in Gyeongbokgung Palace 오준영 p. 80-100

적외선 촬영법을 이용한 채색문화유산의 밑선 검출에 바탕층이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base layer on the detection of lines in painted cultural heritage using infrared photography 권서윤, 장유진, 이한형, 이상현 p. 102-115

조선시대 한양 청계천 가산(假山)의 버드나무 수책(樹柵)에 관한 연구 = A case study on the willow tree fence(樹柵) in Gasan(假山) of Cheonggyecheon, Hanyang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심순희, 김충식 p. 118-141

1961년 문화재보존위원회 활동 재평가 = Re-evaluation of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Committee activities in 1961 오춘영 p. 144-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