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포스트페미니스트 몸 문화와 바디프로필의 젠더화된 의미 = Postfeminist body culture and gendered meanings of body profile among Korean young women : 20-30대 여성들의 바디프로필 촬영 경험을 중심으로 이승연, 이나영 p. 5-48, 403
퀴어 코미디와 수치심의 정동 정치 = Queer comedy and the affective politics of shame : 국내 퀴어 유튜브 및 팟캐스트 콘텐츠와 구독자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김시언 p. 49-102, 404
‘행복한’ 페미니즘의 불/가능성 = The im/possibility of ‘happy’ feminism : focusing on the feminist YouTube channel subscribers’ experiences : 페미니스트 유튜브 채널 구독자 경험을 중심으로 심다해 p. 103-160, 405
‘수치화’된 진정성(Authenticity) = ‘Quantified’ authenticity : how do ‘fandom platforms’ construct fan subjectivity? : ‘팬덤 플랫폼’은 팬 주체성을 어떻게 구성하는가 신윤희 p. 161-204, 406-407
네이버에서 ‘사장님’ 이미지 검색해 보라, 사용자 선호는 어디에 있나? = Naver image search for ‘boss (Sajangnim)’, where is user preference? :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sexualized images : 성애화된 이미지의 생산, 유통 그리고 소비 윤호영, 진보래 p. 205-243, 408
포스타입은 팬덤의 비상업주의를 해체하는가? = Does ‘Postype’ undermind the non-commercialism of fandom? : an exploratory study of fan creators who sell digital fanworks on Postype : 포스타입에서 2차 창작물을 판매하는 팬 창작자들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보영, 박지훈 p. 245-297, 409

라디오 PD, 방송작가 박수복의 생애와 작품 = The lifestory and works of Park Soo-bok, a radio PD and scriptwriter : articulation and practice as an intellectual elite in 1960s-1970s Korean society : 1960~70년대 한국 사회 지식인 엘리트로서 발화와 실천 백미숙, 장은미 p. 299-356, 410-411
역담론으로서 페미니즘과 규범들 = As a reverse discourse, feminism and norms : what norms intervene in the subjectification of male feminists? : 남성 페미니스트 주체화에 개입하는 규범은 무엇인가? 류지현 p. 357-401, 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