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만다라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대학 입시생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해소하는데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48세 직장인 여성으로 양육 스트레스가 있는 대학 입시생 자녀를 둔 중년의 여성이다. 자료수집은 전체 회기의 녹음 파일과 심층 면담, 이를 전사한 텍스트, 회기별 미술작품 이미지, 연구자의 임상일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질적연구의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기간은 2022년 10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진행하였으며 준비 단계를 제외하고 주 1회 90분간 총 15회로 진행하였다. 상위주제는 ‘모든 것의 시작’, ‘낙원 속에서 순수하고 맑은 나’, ‘또 다른 나와 힘겨운 투쟁’, ‘가장 밝게 빛나는 나를 발견’이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입시생 자녀의 입시 결과를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만다라 미술 활동을 통해 자기 내면의 갈등과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었다. 둘째, 자기 문제를 탐구하고 이를 상징적 의미로 표현하면서 이해와 수용을 높이는 과정을 통해 스트레스 해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의 개인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 The qualitative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an adolescent with non-suicidal self-injury(NSSI) 이승정, 신형미, 천세나, 정여주 p. 607-631

미술치료 전공생들의 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메타합성 = The qualitative meta-synthesis of art therapy students' field training experience 양연지, 박은선 p. 633-657

대학 입시생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만다라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 A study on the quality of Mandara art therapy for the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 of a student preparing college admission 유세진, 전순영 p. 659-679

그림책 창작을 통한 어머니의 자기성찰 경험 = A mother's experience of self-reflection through picture book creation : narrative exploration method :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여 이주경, 서은희 p. 681-703

미술치료사의 미술작업 속 나와의 만남을 통한 자기이해 경험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 An ontological inquiry into the experience of self-understanding through encountering 'myself' in the artwork of an art therapist 이은주, 최선남 p. 705-730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골프선수의 회복탄력성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rt therapy for the resilience of a golf player experienced psychological trauma 윤지현, 신지현 p. 731-757

국내 미술치료사의 미술작업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를 대상으로 한 질적 메타요약 = The qualitative meta-summary of qualitative research on the artwork experience of domestic art therapist 함선영, 박은선 p. 759-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