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남원 선원사 명부전의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소조시왕상은 제작자가 명확한 존상들로, 1610년에 처음 조성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는 조선 후기 왕성하게 조성되었던 명부전 존상들의 형태적 변천과정을 지시하는 중요한 학술적 자료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존상에서 안료층 박락과 균열 및 파손 등 다양한 손상이 발생하였으며, 안료들은 복합적인 화학조성을 보였다. 특히 백색의 바탕층에서는 전반적으로 Ca과 P이 다량 검출되는 것으로 보아 제작 당시 회칠이 있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소조시왕상의 청색 안료는 발색성 금속산화물과 유리질 분말을 배합한 신암채의 특성이 나타난다. 이 연구대상 존상들은 중창한 기록이 있고, 유사한 색의 안료에서는 다양한 발색원소가 검출되는 것으로 보아 조색이 있었으며, 덧칠과 보채 등 채색기법으로 볼 때 당시의 시대적 및 사회적 상황을 반영한 재료의 수급과 활용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이 결과는 향후 선원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소조시왕상의 보존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머신러닝 모델을 활용한 한국과 중국 전통 백자의 생산국가 판별 연구 =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production country of Korean and Chinese traditional white porcelain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 based on the chemical analysis data of white porcelain : 백자의 화학적 분석 데이터를 기반으로 조예은, 안상두 p. 102-112

중성자 분석을 이용한 철제유물의 부식시스템 연구 = Study of corrsion system on iron artefacts through neutronic analysis 김이연, 김태주, 김종열, 조남철 p. 113-122

남원 선원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소조시왕상의 채색안료 분석과 색상 다양성 해석 = Interpretation of hue diversity and coloring pigment analysis onto the Wooden Ksitigarbha Bodhisattva triad and Clay Ten Underworld Kings in Namwon Seonwonsa Temple, Korea 정동희, 한두루, 최일규, 이찬희 p. 123-137

가죽 문화재의 유연성 복원을 위한 표면 처리제 연구 = Study of surface treatments for restoring flexibility in leather conservation : focusing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reated leather : 표면 처리된 가죽의 물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유수정, 박지선 p. 138-147

6⋅25전사자 故김기봉 이등중사 유품의 과학적 보존처리 = Scientific preservation treatment of artifacts of the late second sergeant, Kim Ki-bong, silled in action during the Korean War 이호연, 위광철 p. 148-156

라오스 참파삭 홍낭시다 사원 출토 고대 녹색 유리의 화학조성과 의미 = Implica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of ancient green glass from Hong Nang Sida Temple in Champasak, Lao PDR 최혜지, 양혜리, 전유근, 이찬희 p. 157-167

기술 변화에 따른 미디어 아트 보존 방안 = Conservation measures for media art according to technological changes : color reproducibility comparison for conservation of artwork using video display :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한 미술품 보존을 위한 색 재현성 비교 배건민, 정광용 p. 168-176

고창 선운사 영산전 「습득도」벽화의 제작 기법 특성 연구 = Manufacturing technique characteristics of the 「Shide (monk)」 mural painting in Yeongsanjeon Hall, Seonunsa Temple, Gochang 유영경, 이예현, 이화수 p. 177-188

참고문헌 (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Namwon Seonwongsa Wood seated Ksitigarbha Triad and monk sculptor Wono 미소장
2 Characterization and Analysis of Painted Pigments for the Clay Statues in Donggwanwangmyo Shrine, Seoul 미소장
3 Pigment Analysis and Nondestructive Deterioration Diagnosis of the Wall Paintings in Gwanyongsayaksajeon (Yaksajeon Hall of Gwanyongsa Temple), Changnyeong, Korea 미소장
4 (Reference title not available) 미소장
5 Effect of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Seokganju on Functionality and Light Fastness 미소장
6 A Study of the Dried-lacquer Amitabha Buddha Statue from Simhyangsa Temple 미소장
7 Interpretation of Coloring Technique and Pigment Analysis for King Sejo’s Palanquin in Gongju Magoksa Temple, Korea 미소장
8 Interpretation of the Pigments Analysis and Coloration Techniques for Ksitigarbha Bodhisattva Painting within the Myengbujeon Hall in Namwon Seonwonsa Temple, Korea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