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1839년 사진의 발명 이래, 오늘날까지 끊임없이 새로운 미디어들이 발명되었다. 뉴미디어는 사회 전반의 삶의 양식을 변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문학예술 및 문화산업의 상황과 지형을 변화시켜왔다. 19세기 중반 보들레르가 창안한 산문시에서부터 19세기 말 상징주의 시인들의 자유시에 이르기까지, 근대 프랑스 문학은 급변하는 사회에 대응하는 새로운 시적 형식을 실험하고 발전시켰다. 이 과정에서 타이포그래피는 새로운 시 형식과 문학관을 가시화하는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하였다. 말라르메의 『한 번의 주사위 던지기가 절대로 우연을 소멸시키지는 못하리라』는 최초로 타이포그래피를 전면적으로 새로운 시적 형식의 가시화를 위하여 활용한 시이다. 이러한 문학 예술적 타이포그래피 작업은 20세기 초 아폴리네르의 『칼리그람』으로 이어지며, 다다이즘이나 초현실주의 또한 타이포그래피를 자신들의 문학적 실험의 매개체로 활용하였다. 타이포그래피는 주로 언어를 통해서 언어 외적인 시각이나 청각적 감각, 즉 회화적 효과나 음악적 효과를 표현하기 위하여 활용되었다. 그런데 20세기로 접어들면서 문학 예술적 타이포그래피는 다양한 시청각적 뉴미디어가 일상화된 사회 환경과 문화 예술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성이 더 강화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문학 예술적 타이포그래피 작업의 핵심은 언어의 자유로운 전개를 통한 새로운 텍스트적 의미론의 창출이다. 여타의 감각적 효과들은 이러한 텍스트적 의미론의 전개 과정에서 도출된다. 말라르메는 이러한 문학 예술적 타이포그래피 작업의 원칙과 방법론을 일찍이 제시하였다. 20세기부터 오늘날까지 전개된 문학 예술적 타이포그래피 작업의 바탕에는 여전히 말라르메가 제시한 원칙과 방법론이 작동하고 있다.

Depuis l’invention de la photographie en 1839, les médias n’ont cessé d’évoluer, transformant non seulement la vie quotidienne des individus, mais aussi les arts et les industries culturelles. De la poésie en prose créée par Baudelaire au milieu du XIXe siècle à la poésie libre des poètes symbolistes de la fin du XIXe siècle, la littérature française moderne a constamment exploré de nouvelles formes poétiques en réponse aux bouleversements sociaux. Dans ce processus, la typographie a servi de moyen important pour visualiser de nouvelles formes poétiques. Ainsi, Un Coup de dés jamais n’abolira le hasard de Mallarmé marque une étape cruciale en intégrant pour la première fois la typographie pour créer une forme poétique complètement nouvelle. Ce travail de typographie littéraire et artistique s'est poursuivi avec les Calligrammes d'Apollinaire au début du XXe siècle, et les mouvements dadaïste et surréaliste ont également utilisé la typographie pour leurs expérimentations littéraires. La typographie était principalement utilisée pour exprimer des effets visuels ou auditifs au moyen du langage, tels que des effets picturaux ou musicaux. Cependant, au début du XXe siècle, la finalité de la typographie littéraire et artistique a évolué en réponse à l’essor des nouveaux médias audiovisuels dans les milieux culturels et artistiques. Le cœur de ce travail réside dans la création d’une nouvelle sémantique textuelle à travers le libre développement du langage. D’autres effets sensoriels découlent de ce processus d’élaboration d’une sémantique textuelle. Mallarmé a non seulement très tôt présenté les principes et la méthodologie du travail de typographie littéraire et artistique, mais il a aussi posé les bases sur lesquelles reposent les évolutions contemporaines relatives à ce domain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초대받은 여자』 다시 읽기 = Relire L’invitée : autour de Xavière qui est une incarnation de la négation : 부정의 화신 그자비에르를 중심으로 강초롱 p. 5-42

새로운 보편자 발견을 향한 개별자들의 탐구 = Interrogation sur des individuels vers la découverte d’un nouvel universel : autour de la trilogie orientale d’André Malraux : 앙드레 말로의 동양의 삼부작을 중심으로 김웅권 p. 43-70

파농의 『대지의 저주받은 자들』을 위해 쓴 사르트르의 서문 = La préface de Sartre aux Damnés de la terre de Fanon : la puissance, l’impuissance et la honte des mots : 말의 힘, 무력함, 수치 오은하 p. 71-113

프랑스 문학과 뉴미디어 = Littérature française et nouveaux médias : Sémantique textuelle de la typographie, de l’image et du son : 타이포그래피, 이미지, 소리의 텍스트적 의미론 정의진 p. 115-138

『부바르와 페퀴셰』와 19세기 프랑스 철학의 유심론-유물론 논쟁 = Bouvard et Pécuchet et le débat spiritualisme-matérialisme dans la philosophie française du XIXe siècle 정지운 p. 139-171

문어 담화에 출현한 의문문의 기능 연구 = Etude des fonctions des interrogations produites dans les discours écrits : l’éditorial journalistique du journal Le Monde comme exemple : 르몽드 신문사설을 중심으로 손현정 p. 173-197

프랑스어 어중음첨가의 통시적 접근과 기제 정립 = Les paramètres des consonnes épenthétiques en ancien français : ‘chambre’류의 단어를 중심으로 우현희 p. 199-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