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앨리스 워커가 『어머니의 정원을 찾아서』에서 정의내린 ‘우머니즘’ 개념을 토대로, 워커의 소설 『컬러 퍼플』과 엄인희의 희곡 〈그 여자의 소설〉에 형상화된 ‘우머니즘’을 비교·분석한다. 주류 서구 페미니즘이 흑인 여성과 기타 소외된 집단을 배제하는 것을 비판한 워커의 ‘우머니즘’은, 인종, 젠더, 성적지향 등 각종 경계를 초월하는 포괄적인 문화로 여성 간 유대를 강조한다. 엄인희가 워커의 ‘우머니즘’을 알고 있었는지는 불확실하지만, 비교·분석을 해보면 『컬러 퍼플』과 〈그 여자의 소설〉에서 장르와 배경(1900년대 초반 미국 흑인공동체와 1940년대에서 70년대까지 한국 봉건적 마을)을 뛰어넘는 공통의 주제적 핵심이 드러난다. 두 작품 모두 여성 간 정서적 유대와 이를 바탕으로 한 여성의 각성을 다룰 뿐 아니라, 여성 간 결속이 남성까지 확장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컬러 퍼플』의 씰리와 슈그의 성적·영적 결합을 〈그 여자의 소설〉의 큰댁과 작은댁의 유대와 비교하여, 씰리와 작은댁이 내면화된 가부장적 성차별주의자에서 ‘우머니스트’가 되기까지의 여정과 그들 각각의 남편들의 변화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이 글은 엄인희가 여성의 시각에서 우리의 전통을 잇고 민중의 목소리를 들려주는 극작가일 뿐만 아니라, ‘우머니즘’과 같은 동시대 세계의 흐름에 조응하는 극작가임을 밝혀 엄인희에 대한 새로운 평가의 길을 열어본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의 노년 남성들로 상상되는 공동체의 조건 = The conditions of the community that are imagined by elderly men in Korean pop culture contents in the 2020s : 2020년대 대중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김종수 p. 1-23

페루 농촌 사회의 변동과 안데스 농민 공동체의 변화 = Changes in Peruvian rural society and Andean peasant communities : beyond utopian communtarianism : 유토피아적 공동체주의를 넘어 서지현 p. 25-60

셀 수 없이 많은 우주를 되살릴 수 있다면 = Can we recreate countless universes? : a relational reading of 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 and the possibility of pluriverse : 영화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의 관계적 읽기와 플루리버스 비평의 가능성 손희정, 박정원 p. 61-92

‘넥스트 일본(Next Japan)’을 그려내다 = The subject, community and ethics for “Next” Japanese generation in Suzume : <스즈메의 문단속>에 나타난 주체와 공동체 그리고 윤리 이재은, 이현지, 김태경 p. 93-118

(An) Asian mediterranean as the analogy of archipelagic ontology = 군도적 존재론의 비유로서 상상 가능한 아시아 지중해 Alex Taek-Gwang Lee p. 119-146

다의화의 유형 분류와 인지의미론적 해석 = A study on classification and cognitive semantic analysis of polysemization 문금현 p. 147-174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 A review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 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을 중심으로 양명희 p. 175-207

일본문화의 고층(古層), 『고사기』의 명암(明暗) = The old layer of Japanese culture, the light and shade of “Kojiki” 이창수 p. 209-232

‘우머니즘’의 관점에서 본 앨리스 워커의 『컬러 퍼플』과 엄인희의 <그 여자의 소설> = Alice Walker’s The Color Purple and Eom In-hee’s <That Woman’s Novel> from the perspective of ‘womanism’ 이희원 p. 233-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