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Stemphylium vesicarium에 의해 발병하는 잎마름병은 마늘재배에 있어 전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곰팡이 병 중 하나이며, 종자의 품질과 수확량을 감소시킨다. 병 저항성 품종의 재배는 화학 농약의 사용을 감소시키고, 작물 손실을 최소화하는 데 효율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는 잎마름병 저항성 마늘 유전자원을 발굴하기 위하여, 20점의 마늘 유전자원의 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험하였다. 온실에서 재배한 4엽기 유묘의 잎을, 접종 직전에 탈지하지 않은 비흡수성 재질의 솜으로 문지른 후에 멸균한 1/2 농도의 PDB 용액으로 수확한 S. vesicarium KACC 44530 균주의 포자현탁액(3.0×10⁵ spores/ml)을 분무하여 접종하였다. 그리고 접종 3-7일 후에 잎에 발생한 잎마름병의 병반면적률(%)을 조사하였다. 이때 저항성 및 감수성 대조 품종으로 ‘남도’와 ‘대서’ 마늘이 사용되었다. 실험한 유전자원 중에서, IT245512, IT245528 및 IT244068은 잎마름병에 가장 높은 저항성을 보였으며, 유전자원 IT257134와 IT253043은 잎마름병에 대하여 가장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선발한 저항성 유전자원은 잎마름병 저항성 육종 시스템에 유용한 자원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식물병명목록의 연간 현황 보고(6.2판, 2024년 개정본) = Yearly update of the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6.2 Edition, 2024) 최재혁, 김선희, 최영준, 김경희, 윤주연, 박병용, 공현기, 김순옥, 박세근, 백창기 [외] p. 103-113

Peony stem rots by Neopestalotiopsis clavispora and Sclerotinia sclerotiorum, and antifungal propineb and Bacillus siamensis H30-3 against the two fungal species Jeum Kyu Hong, Young Hee Lee, Yeon Sook Jo, Su Min Kim, Seoung Bin Lee, Juyeoung Um, Kyoung-Ok Choi, Mee Kyung Sang, Chung-Ryul Jung, Chang-Jin Park, Sung Hwan Choi p. 114-123

마늘 유전자원의 Stemphylium vesicarium에 의한 잎마름병 저항성 평가 = Evaluation of garlic germplasm for resistance to leaf blight caused by Stemphylium vesicarium 이진주, 한지원, 김헌, 김진철, 최경자 p. 124-130

Rezasulin 기반 포자 생존 검정법을 이용한 당근검은잎마름병균 Alternaria dauci의 포자 생장 시기에 따른 몇 가지 살균제의 효과 = Effects of several fungicides on the spore growth period of Alternaria dauci, a carrot black leaf blight fungus, using a rezasulin-based spore survival assay 도지원, 김흥태 p. 131-138

2019–2023년 국내 과수 화상병의 발생 특성 = Emergence characteristics of fire blight from 2019 to 2023 in Korea 함현희, 노은정, 이미현, 이영기, 박동석, 김경님, 이방울, 안문일, 이우형, 최효원, 이용환 p. 139-147

Ralstonia pseudosolanacearum 생존에 관여하는 Sigma S 역할 = Sigma S involved in bacterial survival of Ralstonia pseudosolanacearum 최혜경, 조은정, 허지은, 공현기, 이선우 p. 148-156

Bi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 Korean isolate of clover yellow vein virus infecting Canavalia ensiformis Bong-Geun Oh, Ho-Jong Ju, Jong-Sang Chung, Ju-Yeon Yoon p. 157-164

멸종위기종 구상나무 서식지별 세균 군집 구조 변이 조사 = Investigation of variation in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endangered Korean fir tree by habitats 고영민, 강근혜, 정대호, 곽연식 p. 165-175

2021년 국내 포도원에서의 5종 포도 바이러스 감염 실태 조사 = Survey on the occurrence of five grapevine viruses in Korean vineyards in 2021 최여진, 곽해련, 송명규, 김미경 p. 176-180

Biocontrol of southern blight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pepper plants using Bacillus subtilis GJ6-14 Hae Jung Moon, Mee Kyung Sang p. 181-188

오이 탄저병 방제에 효과적인 Streptomyces sp. S20-465 유래 대사물질 규명 = Identification of metabolites derived from Streptomyces sp. S20-465 that are effective in controlling cucumber anthracnose 김지원, 상미경 p. 189-193

과수 화상병 전염 차단을 위한 전정 가위 소독 방법 = Disinfection methods of pruning scissor for preventing transmission of fire blight 임연정, 함현희, 이미현, 이우형, 이용환 p. 194-198

2019-2023년 국내에서 분리한 Erwinia amylovora의 스트렙토마이신에 대한 감수성 변화 = Changes of sensitivity to streptomycin in Erwinia amylovora isolated from 2019 to 2023 in Korea 함현희, 오가람, 이방울, 이용환, 이용훈 p. 199-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