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이원정 후손가 장서의 장서인과 장서기를 분석한 논문이다. 이원정 후손가 석전문고 746종 가운데 136종의 장서에 장서인 또는 장서기가 있어 어느 시기에 어떤 인물이 소장하였던 장서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당 장서는 17세기 남인 영남학파 인물인 이원정의 장서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원정은 14종 이상의 장서인을 소장하였고, 이원정의 장서인과 장서기가 있는 현존본은 101종으로 확인되었다. 17세기 이원정 장서목록에 수록한 장서량과 비교하면 석전문고에는 이원정 장서의 약 37%가 현재까지 보존되어 있다. 그는 자신의 장서 대부분에 장서인을 날인할 정도로 장서인 애호가였다. 둘째, 1656년부터 1678년의 이원정 내사본 6종을 통해 이원정이 사용하였던 장서인의 종류를 시기에 따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장서인의 종류에 따라 이원정이 서책을 소장하였던 시기를 유추할 수 있었다. 셋째, 이원정의 장남 이담명은 장서인의 날인보다는 서책의 빈 공간에 입수경위 등 장서기를 기록하였고, 자신의 장서목록을 작성하는 등 장서관리에 적극적이었다. 광주이씨 이원정가 중요 서책들은 장서인과 장서기를 통해 17세기 이원정・이담명 부자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8세기에는 이담명의 현손 이태운이 5종 이상의 장서인을 소장하였고, 그의 아들 이이풍과 손자 이조연은『보망록』이란 장서목록을 작성하여 장서 점검과 대출 현황을 기록하여 19세기까지 3대에 걸쳐 집안 장서 관리를 위한 노력이 지속되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광주이씨 李元禎家의 장서인과 장서기 연구 = A study on the book ownership stamps and notes of Lee Won-jeong family's library collection 손계영 p. 7-46

17~18세기 재산상속의 방식과 출계자의 위치 = A study on the property inheritance system and the position of adopted son during the 17~18th centuries 고민정 p. 47-77

18세기 대구 解西部面의 戶口總數 유지 배경과 그 성격 =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maintenance of 'HaSeobu-myeon(解西部面)' in Daegu in the 18th century : based on the cross-analysis of the family register and the diary : 해서부면 일대의 호적대장과 『역중일기』 교차 분석을 중심으로 이경진 p. 79-110

19세기말-20세기초 대구 대암가 후손의 종손권 분쟁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dispute over the right of eldest grandson of Dae-am clan in Daegu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경주 최씨 칠계 백불암파 종중기탁 고문서를 중심으로 최기척 p. 111-149

지석묘 구조 다양성의 사회적 의미 = Diversity in dolmen structures and its social meanings 김권구 p. 153-202

16세기 예천 지역의 학풍과 藥圃 鄭琢 = The academic trends and Yakpo Jeongtak(藥圃 鄭琢) in the 16th century Yecheon region 정우락 p. 203-230

洗心亭 관련 한시에 나타난 공간감성과 그 의미 = Spatial recognition and its meaning in the poem related to Sesimjeong(洗心亭) 최은주 p. 231-259

증보판 <명심보감>에 수록된 효자 도시복 관련 고문서 고찰 = A review of old documents related to Do Sibok, a filial son, included in the expanded edition of 'Myeongsimbogam' 박성호 p. 261-291

조선시대 일상 연구의 모색 = The search for the study of everyday life in the Joseon Dynasty 권내현 p. 293-320

『심경부주』와 『대승기신론』의 심 구조와 수양론 비교 고찰 = Comparison of the mind structure and cultivation theory of 『Simgyeongbuju』 and 『Daeseung-gisinlon』 송현자 p. 321-355

차강 박기정 묵란화 연구 = Study on ink orchids by Chagang Park Ki-Jung 이인숙 p. 357-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