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외즈다마의 「엄마혀」와 「할아버지혀」에 나타난 상호이익 교류 가능성 : 교류분석 이론을 중심으로 =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mutually enriching exchange in Özdamar's 'Mother Tongue' and 'Grandfather Tongue' : focusing on the transactional analysis theory / 손은경 1

[목차] 1

국문초록 1

Ⅰ. 들어가는 말 3

Ⅱ. 상호이익 교류와 교류분석 이론 5

Ⅲ. 주인공 및 주요 등장인물의 자아상태와 실존적 태도 10

1. 상실과 실존적 소외 : 자기부정-타인부정(I'm Not OK - You're Not OK) 10

2. 실존적 의존 : 자기부정-타인긍정(I'm Not OK - You're OK) 15

3. 이브니 압둘라와 문화각본 : 자기긍정-타인부정(I'm OK - You're Not OK) 17

4. 상호이익 교류 : 자기긍정-타인긍정(I'm OK - You're OK) 20

Ⅳ. 나오는 말 24

참고문헌 28

[요약] 31

초록보기

본 고에서는 외즈다마의 1990년 산문집 『엄마혀』에 수록된 「엄마혀」와 「할아버지혀」에서 ‘상호이익 교류’ 가능성과 그 실천 요소를 탐색한다. 이 두 작품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된 이야기를 통해 언어와 문화의 경계를 넘은 이민자들이 다문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보편적으로 경험하는 현실적인 문제와 실존적 경험을 다룬다. 또한 작품에서 문화 간의 대화가 상호이익이 되는 교류로 나아가는 과정을 보여주며, 이는 다문화 사회의 갈등 해결과 통합의 문을 여는 중요한 열쇠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호이익 교류로 나아가는 과정을 좀 더 효과적이고 명료하게 고찰하기 위해 교류분석 이론 중 특히, 주인공과 주요 등장인물들의 자아상태, 교류패턴, 실존적 태도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외즈다마의 작품 속 주인공이 새로운 정체성과 자율성을 획득해 나가는 실존적 태도의 변화과정과 독일 소녀 와의 교류에서 보여준 ‘자기긍정-타인긍정’의 태도 및 ‘상보교류’로 나눈 짧지만 많은 의미를 담고 있는 풍성한 ‘상호이익 교류’가 다문화 사회 통합을 위한 가능성을 제시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 mutually enriching exchange in the works “Mother Tongue (Mutterzunge)” and “Grandfather Tongue (Großvaterzunge)”, published in Emine S. Özdamar’s 1990 collection of essays, Mother Tongue. In the organically connected narratives, both works address the real problems and existential experiences that immigrants universally experience when they enter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nd cross the boundaries of language and culture. Furthermore, the works demonstrate a process in which cultural dialogue becomes a mutually enriching exchange that can be an important key to help resolve conflicts and integrate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In order to better and more clearly analyze this process of mutually enriching exchange, the theory of Transactional Analysis is used to analyze the ‘Ego State,’ ‘Transactional Pattern’ and ‘Existential Positions’ of the main and secondary characters.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Existential Positions’ of the protagonist in Özdamar’s work, who acquires autonomy, and the ‘I’m OK-You’re OK’ attitude in his interaction with a German girl, as well as the mutually enriching exchange that is briefly but intensively maintained in the ‘Complementary Transaction’, point to the possibility of a hope for integration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주희(朱熹)의 「재거감흥시(齋居感興詩)」 중 “추월조한수(秋月照寒水)” 구절 해석을 통해 살펴본 조선시대 성리학의 일면 = An aspect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examin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Autumn Moon Shines on the Cold River’ in Zhu Xi’s “Inspirational Poems” 박기완 p. 5-35

보기
18세기 조선 『대학』 해석 연구 동향 및 제언 = Current trends of and suggestions for the interpretation and research of the Great Learning in 18th-century Joseon 이시연 p. 37-73

보기
『강내한 수친연 송시첩(姜內翰壽親宴頌𧥳帖)』의 자료적 고찰과 그 의미 = Material consideration of Kang Naehan’s Book of Poetry of a Feast Celebrating Longevity (姜內翰壽親宴頌𧥳帖) and its significance 방현아 p. 75-105

보기
鹿門 任聖周의 『尙書』 해석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Nokmun Yim Seong-ju’s interpretation of Sangseo 유영옥 p. 107-149

보기
여행하는 연사, 틈입하는 로컬 대중 = Traveling speakers and the intervening local public : focusing on the Yadam performance travelogues of Kim Jin-gu and Yoon Baek-nam : 김진구와 윤백남의 야담 공연 순방기를 중심으로 임명선 p. 151-181

보기
불가능한 사랑 또는 사랑의 죽음 = Desires, sorrows or death of love : Goethe and Massenet’s Werther : 괴테와 마스네의 베르테르 홍이정 p. 183-215

보기
외즈다마의 「엄마혀」와 「할아버지혀」에 나타난 상호이익 교류 가능성 =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mutually enriching exchange in Özdamar’s ‘Mother Tongue’ and ‘Grandfather Tongue’ : focusing on the transactional analysis theory : 교류분석 이론을 중심으로 손은경 p. 217-248

보기
수직 이동 동사의 다의성 연구 = Research on the polysemy of verbs of vertical movement : focusing on ‘oreuda’ and ‘naerida’ in Korean : ‘오르다’와 ‘내리다’를 중심으로 안혁 p. 249-284

보기